김용민 앵커>
오는 18일은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올해 기념식은 코로나19의 여파로 규모는 축소됐지만 정부기념일 지정 이후 처음으로 당시 시민 항거의 중심이었던 옛 전남도청 앞에서 열려 역사적 의미는 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수복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수복 기자>
신군부 독재에 맞서 광주의 대학생과 시민들이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떨쳐 일어섰던 1980년 5월 18일.
권력의 탄압에 항거한 그 날의 외침은 역사 속에 남아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상징이 됐습니다.
5·18민주화운동이 올해 40주년을 맞았습니다.
올해 행사는 역사적 의미를 더해 기존 기념식 장소인 국립 5·18 민주묘지가 아닌 옛 전남도청 앞에서 진행됩니다.
다만 기념식은 코로나19의 여파로 규모를 대폭 줄였습니다.
기존 참석 인원이 5천 명 가량 됐지만 올해는 정부 인사와 5·18 민주 유공자, 유족 등 필수 인원만 참석합니다.
녹취> 최정식 / 국가보훈처 소통총괄팀장
"제 40주년 기념식은 '세월은 흘러도 산천은 안다'라는 주제로 국가 주요인사, 5·18 민주 유공자 및 유족 등 약 4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코로나19 방역대책을 철저히 수립해 치러질 예정입니다."
특히 기념식에서는 5·18 민주화운동 당시 광주교도소에서 암매장돼 발견된 고 임은택씨의 부인 최정희씨가 남편의 이야기를 편지로 담아 읽을 계획입니다.
또 40주년을 맞아 김용택 시인이 '바람이 일었던 곳'이라는 묵념사를 헌사해 문흥식 5·18 구속부상자회장이 낭독합니다.
기념식은 임을 위한 행진곡을 참석자 전원이 함께 '제창'하며 마무리됩니다.
(영상편집: 이승준)
이후 참석자들은 국립 5·18민주 묘지로 이동해 묘역을 참배하며 희생자의 넋을 기릴 예정입니다.
KTV 이수복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610회) 클립영상
- 5·18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전,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10:23
- 터키 코로나19 현황, 경제·사회적 영향은? [세계 속 한국] 11:13
- 외신 핫 이슈 (20. 05. 15. 16시) [세계 속 한국] 11:25
- "다중시설 이용 자제"···고위험집단시설 방역강화 02:26
- 실물경제 하방 위험 확대···"추가 대책 강구" 02:25
- 위약금 분쟁해결기준 마련···특고 산재 적용 확대 02:04
- 스승의 날 메시지···"이 땅의 모든 스승 존경" 01:39
- 방통위 "n번방 방지법, 사생활 침해 우려 없다" 02:13
- 5·18민주화운동 40주년···옛 전남도청서 기념식 02:04
- 5·18 美 기밀문서 공개···정부 "추가 자료 요청" 02:16
- 일본, 코로나 긴급사태 조기해제 [월드 투데이] 0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