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화 앵커>
지난달 31일 탈북민 단체인 자유북한운동연합은 김포에서 대북 전단 50만 장과 소책자 50권, 1달러 지폐 2,000장, 메모리 카드 1,000개를 대형 풍선에 매달아 북한으로 날려 보냈습니다.
대북전단에는 '위선자 김정은'이라는 문구도 담겨 있었습니다.
이에 대해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대변인격이자 노동당 제1부부장인 김여정의 강력한 항의성 발언이 나왔습니다.
김여정 부부장은 대북 전단 살포를 남한 당국이 막지 않을 경우 개성공단 완전 철거와 남북공동 연락사무소 폐쇄, 남북 군사합의 파기까지 언급했습니다.
이렇게까지 강력한 반응을 보이는 이유는 자신들의 존엄인 김정은 위원장에 대한 비난 문구와 사진이 실려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북한 내부의 교란을 통해 김정은 정권 흔들기라고 보는 것이죠.
사실 대북전단 살포는 이전부터 남북 간의 갈등요인을, 또 남한 내부의 남·남 갈등도 촉발시키는 행위로 결과했습니다.
실제 대북전단 살포는 남북 간의 군사적 긴장으로까지 이어졌습니다.
2014년 10월 북한은 탈북단체가 날린 대북 전단 풍선을 향해 고사총을 발사하고 한국군이 응사하는 사건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탈북단체들은 표현의 자유를 명분으로 대북 전단 살포에 대한 정부의 간섭에 반발해왔습니다.
실제 대북전단 살포 금지법 제정은 위헌논란과 함께 국내의 보수와 진보 간의 갈등으로까지 비화되었습니다.
2018년 통일부가 '대북전단 살포시 통일부 장관 사전승인' 내용의 남북교류협력법 개정안을 발의했지만, 야당의 반대로 국회에서 통과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지난 2018년 4월 27일 남북 정상은 판문점 선언에서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확성기 방송과 전단 살포를 비롯한 적대 행위를 중지한다'는 사항을 합의한 바가 있습니다.
그러나 더욱더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것은 '대북전단 살포'에 대한 실효성입니다.
탈북 단체는 폐쇄적인 북한 주민들에게 자유의 소식을 전달한다는 의도를 두고 있는지는 몰라도, 과연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지 오히려 역효과가 발생하는 것은 아닌지 살펴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남북 정상은 이미 2000년 6.15 공동선언에서 흡수 통일 방지에 대해 합의한 바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북한 정권을 흔들거나 붕괴시키는 통일 전략은 이미 철 지난 행위이기 때문인 것이죠.
오히려 북한 정권을 인정하여 그들이 국제사회에 나올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개방정책을 통해 남북 교류를 활성화하여 스스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실제 북한 주민들에게 실제적 이득을 가져다주기 때문입니다.
4일 통일부의 발 빠른 입장이 나왔습니다,
통일부는 "접경지역에서의 긴장조성행위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을 방안 중"이라고 혔습니다.
탈북단체들은 과연 무엇이 진정 북한 주민들을 위한 길인가에 대한 고민과 숙고가 필요하다고 할 것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488회) 클립영상
- 靑 "대북전단 백해무익"···방지대책 검토 착수 02:11
- 문 대통령, 현충일 추념식 참석···대전현충원서 거행 01:48
- 문 대통령 "카타르 LNG선 수주는 기술력의 승리" 02:24
- 스페인 국왕과 통화···"한국 대응, 세계서 회자" 00:42
- NSC 상임위 개최···"G7정상회의 확대 제안 적극 대응" 00:35
- 신규확진 39명···다단계 업체서 집단감염 02:23
- 혈장치료제 개발 6명 완치자 참여···"동참 요청" 00:31
- 65개국에 진단도구·마스크 등 2천100만달러 지원 00:31
- 511곳 등교 조정···방역수칙 어긴 학원 폐업조치 고려 02:14
- 제6차 목요대화···코로나19 이후 나아갈 방향은? 02:09
- 정 총리, 러시아 총리와 통화···보건장관 채널 구축 00:31
- 정 총리, 주미대사와 통화···"우리 국민 보호" 00:31
- "신용카드로 받은 재난지원금 3주 만에 64% 소비" 01:54
- 도심 공유숙박 등 한걸음 모델 연내 구축 02:33
- "하늘 나는 자동차 곧 현실로"···2025년 상용화 02:16
- 문체부-식약처 "스포츠 도핑 방지 협력" 02:09
- 정 총리 "해안·해상 경계 강화해 밀입국 차단" 00:31
- 박양우 장관, 국립장애인도서관 비대면 서비스 점검 00:37
- 유통-납품 업계 상생협약···코로나19 극복 00:39
- 140개 로컬크리에이터 선정···지역자산 사업화 지원 00:29
- 올해 첫 폭염특보 발효···온열질환 예방하려면? 02:29
- 폭염특보 [뉴스링크] 02:46
- #대북전단 [유용화의 오늘의 눈] 03:37
- 주민등록번호 속 지역 표시, 이젠 안녕 [S&News] 0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