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은 앵커>
정세균 국무총리가 '제6차 목요대화'를 주재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공공, 국제 분야에서 나아가야 할 '방향'이 논의됐습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제6차 목요대화
(장소: 오늘 오후, 총리 서울공관)
제6차 목요대화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정부와 국제사회의 대응방안이 논의됐습니다.
이를 위해 공공, 국제관계분야 전문가 15명이 참석했습니다.
목요대화를 주재한 정 총리는 우리정부의 코로나19 대응은 민주적이었다고 평가하면서 민주주의를 강화하는 것이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정세균 / 국무총리
"민주주의를 강화하는 것이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길이라는 교훈을 얻었습니다. 정부는 모든 정책과정에서 민주적 장치가 잘 작동될 수 있도록 제도적 점검과 자기혁신의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겠습니다."
투명성, 개방성, 신뢰성을 뼈대로 한 우리 방역시스템을 일컫는 이른바 'K-방역'의 중요성도 재차 강조했습니다.
K-방역에 대한 전 세계 호평은 방역 선도를 넘어 외교적 자산이라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로나19 이후 국가 간 경제, 안보 등에서 경쟁이 심화될 것이라며 K-방역을 디딤돌 삼아 국제사회 협력과 연대를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김흥규 / 아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각 국은) 자기 중심의 가치사슬을 만들어나가면서도 일정부분에 있어선 협력을 하지 않을 수 없는 경쟁과 협력의 복합체제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봅니다."
코로나19와 같은 예기치 못한 재난 상황에 대비해 정부의 대응역량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녹취> 정지범 /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과 교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일상조직으로서 재난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제 위기 상황을 대응할 수 있는 상시조직으로서 운영해보면 어떨까합니다."
이날 목요대화를 끝으로 '포스트 코로나'를 주제로 한 전문가 간담회는 모두 마무리됐습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 영상편집: 김종석)
다만, 정 총리는 앞으로도 목요대화를 통해 사회 각계각층과 소통을 이어가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KTV 박지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488회) 클립영상
- 靑 "대북전단 백해무익"···방지대책 검토 착수 02:11
- 문 대통령, 현충일 추념식 참석···대전현충원서 거행 01:48
- 문 대통령 "카타르 LNG선 수주는 기술력의 승리" 02:24
- 스페인 국왕과 통화···"한국 대응, 세계서 회자" 00:42
- NSC 상임위 개최···"G7정상회의 확대 제안 적극 대응" 00:35
- 신규확진 39명···다단계 업체서 집단감염 02:23
- 혈장치료제 개발 6명 완치자 참여···"동참 요청" 00:31
- 65개국에 진단도구·마스크 등 2천100만달러 지원 00:31
- 511곳 등교 조정···방역수칙 어긴 학원 폐업조치 고려 02:14
- 제6차 목요대화···코로나19 이후 나아갈 방향은? 02:09
- 정 총리, 러시아 총리와 통화···보건장관 채널 구축 00:31
- 정 총리, 주미대사와 통화···"우리 국민 보호" 00:31
- "신용카드로 받은 재난지원금 3주 만에 64% 소비" 01:54
- 도심 공유숙박 등 한걸음 모델 연내 구축 02:33
- "하늘 나는 자동차 곧 현실로"···2025년 상용화 02:16
- 문체부-식약처 "스포츠 도핑 방지 협력" 02:09
- 정 총리 "해안·해상 경계 강화해 밀입국 차단" 00:31
- 박양우 장관, 국립장애인도서관 비대면 서비스 점검 00:37
- 유통-납품 업계 상생협약···코로나19 극복 00:39
- 140개 로컬크리에이터 선정···지역자산 사업화 지원 00:29
- 올해 첫 폭염특보 발효···온열질환 예방하려면? 02:29
- 폭염특보 [뉴스링크] 02:46
- #대북전단 [유용화의 오늘의 눈] 03:37
- 주민등록번호 속 지역 표시, 이젠 안녕 [S&News] 0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