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보라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위안부 운동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을 밝혔습니다.
일각에서 위안부 운동의 대의를 손상시키려는 시도는 옳지 않다며 피해자 할머니의 존엄과 명예까지 무너뜨리는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정유림 기자>
수석보좌관회의
(장소: 어제 오후, 청와대)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 문재인 대통령이 더불어민주당 윤미향 의원과 정의기억연대를 둘러싼 논란에 처음으로 입장을 밝혔습니다.
위안부 운동의 대의는 굳건히 지켜져야 한다면서 위안부 운동은 결코 부정하거나 폄훼할 수 없는 역사라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일각에서 위안부 운동 자체를 부정하고 운동의 대의를 손상시키려는 시도는 옳지 않습니다. 피해자 할머니들의 존엄과 명예까지 무너뜨리는 일입니다."
문 대통령은 이번 논란이 시민단체의 활동 방식을 되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됐다면서, 모금 활동의 투명성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정부는 이번 논란을 계기로 기부금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기부금 또는 후원금 모금활동의 투명성을 근본적으로 강화하겠습니다."
문 대통령은 위안부 운동의 역사를 일일이 열거하면서, 특히 이용수 할머니는 위안부 문제를 세계적 문제로 만드는 데 지대한 역할을 하셨다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위안부 할머니가 없는 위안부 운동을 생각할 수 없다며, 할머니들은 위안부 운동을 이끌어오신 것만으로도 누구의 인정도 필요없이 스스로 존엄하다고 언급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그러나, 일각에서 위안부 운동 자체를 부정하고 운동의 대의를 손상시키려는 시도는 옳지 않다며 피해자 할머니의 존엄과 명예까지 무너뜨리는 일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영상취재: 강걸원 김정섭 / 영상편집: 정현정)
그러면서 지금의 논란이 위안부 운동을 발전적으로 승화시키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KTV 정유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624회) 클립영상
- 北 "모든 남북연락채널 폐기"···정부, 신중 대응 02:06
- "위안부 운동 대의 지켜져야···투명성 강화" 02:02
- 고위험시설 'QR코드' 전자출입명부 내일부터 의무화 00:24
- 공공기관 인력 재배치···'한국판 뉴딜' 등 대응 01:37
- 국방부, 디지털 성범죄 징계 기준 신설·강화 01:54
- 대표적 적극행정 '한복 교복'···다양한 인센티브 02:11
- 코로나19로 항공업 비상상황, 항공공사 임원 연봉은 인상했나 [사실은 이렇습니다] 04:47
- 내일배움카드 훈련과정, 4차 산업시대 전문가 프로그램 부족하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04:30
- 기후 위기 전략 '그린 뉴딜', 비전과 정책 과제는? 13:40
- 미국 시위 2주째···무릎꿇은 민주당 [월드 투데이] 04:26
- 헌혈로 나눔을 실천하세요 [클릭K] 04:52
- '극심한 더위 경고', 올여름 날씨 전망은? 14:59
- 같이 있는 시간 늘어날수록 '이것'도 늘었다 [S&News] 03:57
- 코로나19 국내 대응현황 브리핑 (20. 06. 09. 11시) 2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