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민 앵커>
남북 연락채널은 과거에도 남북관계 고비 때마다 단절과 복원을 반복했습니다.
연락채널 단절 사례를 박성욱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박성욱 기자>
1971년, 남북 간 적십자 대화가 이뤄지면서 판문점에 남북 간 직통전화가 최초로 개설됩니다.
이후 북한은 연락채널 단절을 통해 우리측에 대한 태도변화를 자주 보여왔습니다.
1976년 8월 발생한 판문점 도끼만행사건.
북한군의 공격으로 미군 장교 2명이 숨지고 경비병 9명이 다친 사건 이후 북한은 별도 성명 없이 약 3년 5개월 동안 남북직통전화를 단절했습니다.
이어 1980년에 남북총리회담 개최를 위한 실무대표 접촉으로 통화가 재개됐지만 북측의 일방적인 실무접촉 중단 선언 후 또 다시 약 4년간 남북의 연락은 중단됩니다.
북한은 2008년에는 제63차 유엔총회에서 우리가 공동제안한 북한 인권결의안을 문제 삼아 직통전화 단절을 발표했습니다.
2013년, 북한은 유엔안보리 제재결의와 한미합동군사훈련을 비난하며 판문점 연락통로 폐쇄와 남북직통전화 즉시 단절을 발표합니다.
2010년에는 정부가 천안함 피격 사건 대응 5·24 조치를 단행하자 판문점 채널이 닫혔다 2011년 1월 복원됐습니다.
또 지난 2016년에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응한 개성공단 중단 조치에 반발해 군 통신선과 판문점 연락채널을 폐쇄했습니다.
녹취> 홍현익 /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1976년에 판문점 도끼만행사건, 이럴 때 중단되서 수년간 끊어진 적도 있고요. 천안함 폭침이나 북한의 3차 핵실험, 이럴 때 유엔 안보리 제재가 되니까 또 끊기기도 했습니다. 6차례 이상 끊어졌는데요..."
(영상편집: 정현정)
2018년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 발표와 북한의 평창 올림픽 참가로 전환기를 맞았던 남북관계는 북한이 연락채널 단절 조치를 취하면서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KTV 박성욱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627회) 클립영상
- 코로나19 재난심리회복지원, 반려식물 보급 07:55
- 한국판 뉴딜 본격화, 추경 통한 포스트 코로나 대비 [경제&이슈] 22:04
- "지금의 위기를 전국민 고용보험 계기로 삼아야" 02:34
- 대기업 계열사 손자회사 신규 공동출자 금지 01:48
- 北 "남북통신 차단"···정부 "합의 따라 유지돼야" 01:56
- 고비마다 단절-복원···남북 연락채널 단절 사례는? 02:09
- 신규확진 38명···"수도권 사각지대 점검강화" 02:22
- 방역정책 방해하면 구속수사···'구상권' 청구 검토 02:17
- '정은 담고 음식은 덜고'···식사문화 개선 추진 02:22
- K-방역으로 증명한 선진의료···'긴급의료 지정국' 선정 02:52
- 미국 시위 2주째···무릎꿇은 민주당 [월드 투데이] 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