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기자단의 `폐해`
등록일 : 2007.09.06
미니플레이
현재 정부가 추진중인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과 관련해 언론의 왜곡보도에 대한 진실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6일은 5일에 살펴본 알권리와 연관해 과거 기자실 제도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왜 개방형 브리핑제로의 전환이 필요한 지 살펴보겠습니다.

오세중 기자>

Q1>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이 현재 기사송고실로 불리고 있는 과거 기자실의 문제점을 개선해 취재방식의 정상화를 이뤄야 한다는 것이 큰 그림인데요, 먼저 과거 부처 기자실의 문제점은 무엇일까요?

A> 네. 2003년 개방형 브리핑제가 도입된 이후 과거 몇몇 출입기자 중심의 기자단에 의한 정보독점 폐해가 많이 줄어들었습니다만, 아직도 적지 않는 기관에서 형식적인 개방형 브리핑룸 운행으로 특정 언론사 중심의 상주 출입기자 위주로 브리핑룸이 운영돼 과거 출입기자단의 문제가 다시 발생하고 있습니다.

많이 나아졌지만 과거 출입기자단의 폐해가 다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인데요, 이렇듯 출입처에 상주하는 기자들은 스스로를 ‘기자단’이라고 불렀고, 2003년 참여정부 이후 공동 이용을 목적으로 마련한 ‘기사송고실’을 기자실이라고 부르며 예전처럼 좌석들을 개인 전용공간처럼 이용했습니다.

개방형 브리핑제가 퇴색하고 과거 출입처 기자제 방식이 여전히 유지됐던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기자단이 들어가지 못하는 기자들은 과거와 마찬가지로 부처에서 제공하는 제공하는 정보와 취재원 접근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습니다.

즉 정부의 정보가 모든 매체 기자들에게 주어지지 않는 형평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겁니다.

2004년 한 인터넷 신문사는 장관 인터뷰를 하기로 약속돼 있었으나 상주 출입 기자단의 거센 항의로 취소됐고, 2006년 한 신생언론사는 한 기관에 출입기자 등록을 신청했다가 기자단의 반대로 거부당하는 사례까지.

기자단은 보이지 않는 그들만의 리그로 명명될 정도의 집단주의로 인해 정보 유통을 독점하는 관행이 다시 드러나고 있다는 것이 정부의 지적입니다.

Q2> 과거 기자실의 폐단을 답습하지 않기 위해 시작한 개방형 브리핑제가 취지를 못 살리고 있자, 정부가 다시 한 번 새로운 개혁 드라이브를 걸었다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겠는데요, 2003년 개방형 브리핑 이후에도 이런 관행들이 드러났다면 내부적으로 자성의 소리도 있을 법 한데요.

A> 네. 그렇습니다.

출입처 기자단의 폐단은 언론계 내부에서 끊임없이 지적돼 왔던 사안이기도 했는데요.

출입처 기자단의 개혁에 대한 필요는 약 30년가량 계속돼 왔습니다.

1977년 월간 신문과방송 8월에는 당시 신아일보 김길홍 정치부장의 ‘출입처 없으면 기자 아닌 현실’이란 제목으로 기자단의 특권의식을 비판하는 내용이 실립니다.

1990년 10월호에선 동아대 신문방송학과 강상현 교수가 출입처 구조는 취재보도의 편의주의적 관행 때문에 정착돼 온 것이 아닌가 자문해 볼 필요가 있다며 출입처 취재 관행을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2001년에도 현직기자가 기자들은 관리들의 중계방송을 듣는 것이 아니라 현장으로 돌아가서 기사를 쓰자라고 호소하는 기고문을 통해 봐도 낡은 관행을 바꾸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가를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Q3> 네. 결국 현장성을 담보하는 기사쓰기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인데요, 한편 기자들은 부처 출입처가 폐지되면 전문성이 사라진다는 문제제기를 하고 있지 않습니까?

A> 네. 결론적으로 말하면 부처 출입처 폐지가 전문성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는 겁니다.

얼핏 보면 부처 출입처에 기자가 상주하지 못하면 부처를 전문적으로 다루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 같지만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겁니다.

이 부분은 기자실에서 브리핑 등에만 의존하는 관급기사를 쓰는 것이 아니라 발품을 파는 기사쓰기가 이뤄져야 한다는 부분과도 통하는데요.

사실 6일날처럼 정보가 무수하게 쏟아지는 시대에서 기자들의 역할은 그 정보를 추려 근거를 확보해 나가는 것이고, 그런 측면에서도 브리핑에만 의존하는 기사쓰기는 한계가 있다는 겁니다.

즉, 과거의 부처 출입처 제도는 편파적이고 단편적인 판박이 기사를 생산해 왔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는 것도 이같은 맥락입니다.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 건설교통부 출입기자가 부동산 관련 기사를 쓴다면 브리핑을 통해 들은 바로 기사를 쓰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부동산 업자, 부동산 전문가를 비롯해 부동산과 관련된 교통, 환경 문제까지 다각도로 전문가들과 접촉해 다양한 시각의 기사를 쏟아내야 한다는 겁니다.

때문에 출입처 기자제와 같이 운영되고 있는 기사송고실이 사라지면 전문성이 결여된 다는 이유는 설득력을 얻을 수 없다는 게 정부의 입장인데요.

지금의 취재 시스템 변화가 다소 불편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기자들 스스로가 편의적인 관행을 유지하고자 설득력 약한 논리를 갖다 부치면서 취재지원 선진화를 왜곡한다면 기자 본연의 객관성을 잃게 되는 우를 범하는 것이라는 지적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