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조업 생산성 제고 방안은?
등록일 : 2020.07.15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우리 정부는 1990년대 WTO 출범을 위한 우루과이라운드 참여를 시작으로 다양한 무역자유화
정책을 추진해왔는데요.
이러한 무역자유화 정책이 실제 우리 제조업 생산성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을까요?
최근 KDI의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대 이후 추진된 미국·중국 유럽연합 등 주요 교역국과의 무역자유화 정책이 제조업 생산성을 끌어올리지 못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관련 내용을 살펴보고 포스트 코로나시대 제조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과제를 알아봅니다.
(출연: 송영관 /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
최대환 앵커>
한국개발연구원 송영관 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최대환 앵커>
우선 제조업을 중심으로 우리 무역 환경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우리 정부는 1990년대 이후 FTA 등 다양한 무역자유화 정책을 추진해왔는데요, 주요 흐름을 짚어주신다면요?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650회) 클립영상
- 대한민국 동행세일 결산 중소벤처기업부 브리핑 09:38
- 가구수 늘었는데 서울 아파트 공급, 절반으로 줄었나 [사실은 이렇습니다] 04:44
- '소비자경보' 발령 배경은? [사실은 이렇습니다] 03:58
- 강경화 외교부 장관 [브리핑타임] 02:35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조업 생산성 제고 방안은? 16:52
- 트럼프, 결국 유학생 비자규제 철회 [월드 투데이] 04:24
- 한국판 뉴딜 대국민보고, 디지털 뉴딜 내용과 과제는? 14:34
- 코로나19 국내 대응현황 브리핑 (20. 07. 15. 11시) 19:31
- 디지털 뉴딜,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대전환 선도 4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