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천영 앵커>
수돗물에서 유충이 나온다는 신고가 잇따르면서 환경부가 전국 정수장을 긴급점검했습니다.
붉은 수돗물 사태로 문제가 있었던 인천 공촌 정수장을 포함해 총 7곳에서 유충이 발견됐는데요.
환경부는 모레까지 보완 조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보도에 임하경 기자입니다.
임하경 기자>
가늘고 짧은 빨간 물체가 꿈틀거립니다.
실지렁이처럼 보이는 이 벌레는 깔따구의 일종입니다.
진흙이나 물속에 있는 오염물질을 먹으면서 자라는 유충인데 최근 인천과 서울, 부산 등의 수돗물에서 발견돼 국민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환경부는 정수 처리 과정에서 쓰는 활성탄 여과지 (활성탄지)에서 유충이 번식했다고 보고
활성탄지가 설치된 전국 정수장 49곳에 대해 긴급점검을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인천 공촌정수장을 포함한 7개 정수장에서 유충이 발견됐습니다.
녹취> 신진수 /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
"인천 공촌·부평정수장을 포함한 7개 정수장에서 유충이 소량 발견됐고, 12개 정수장은 방충망 미설치 등 운영상 문제가 지적됐습니다. 방충망이 찢어졌다든지, 약간 틈새가 있다든지 그 부분에 대해서는 7월 23일까지 보완조치를 완료하고..."
유충이 발견된 정수장 7곳은 인천 공촌과 부평, 경기 화성, 김해 삼계, 양산 범어, 울산 회야, 의령 화정입니다.
환경부는 해당 정수장의 활성탄을 바꾸거나 세척하고 오존 주입률을 올리는 등의 조치를 내렸습니다.
또 수도관과 배수지에 거름망을 설치해 관찰하고 있는데 아직 유충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신진수 /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
"공촌과 부평정수장 계통에서의 유충의 추가 발생은 차단하였으며, 아직까지 급수·배수 관로상에 남아있는 유충만 배출되면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한편, 인천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나온 유충은 수돗물 공급 과정에서의 문제가 아닌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서울 오피스텔 욕실 바닥에서 발견된 유충은 수돗물이 아닌 배수구 등 다른 요인을 통해 발생한 가능성이 크다는 겁니다.
환경부는 지자체와 함께 수돗물 안전을 위한 철저한 관리를 이어나갈 계획입니다.
벌레를 발견했다는 민원이 들어오면 즉시 관할 지방 환경청에 보고하도록 요청하고 신속한 현장 대응을 위해 전문인력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김명현, 이수오 / 영상편집: 김종석)
아울러 국민 불안을 막기 위해 각 지자체는 민원이 접수되면 발생 원인을 분석해 홈페이지에 공개할 방침입니다.
KTV 임하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뉴스중심 (480회) 클립영상
- 문 대통령 "한국판 뉴딜, 지역주도형으로 추진" 02:03
- 8월 17일 '임시공휴일'···"국민께 작은 위로되길" 02:14
- 진영 행안부장관 "용인 화재 인명구조에 총력 "지시 00:34
- 신규확진 45명···강서구 요양시설 집단감염 02:24
- 베트남·중국, 한국 기업인 특별입국···하늘길 열린다 02:03
- 코로나19 국내 발생현황 브리핑 (20. 07. 21. 14시) 28:38
- 전국 7곳 정수장서 유충 발견···차단조치 시행 02:44
- 한미 국방장관 전화회담···"전작권 전환 지원" 02:03
- 첫 군 전용 통신위성 '아나시스 2호' 교신 성공 02:02
- 2022년까지 공공기관 일자리 2만 6천개 늘린다 00:36
- 한국판 뉴딜 '데이터 댐' 공공데이터 청년인턴십 모집 00:24
- 저탄소 태양광 모듈 확충···탄소인증제 본격 시행 00:28
- 중소기업 지원정보 한곳에···'중소벤처24' 오픈 00:30
- 이인영 후보자 "北과 작은 교류협력 추진" 00:35
- 에어로졸 [브리핑타임] 02:51
- '코로나 싸움' 장기화···빛나는 숨은 주역들 [S&News] 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