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민 앵커>
정부가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강조하면서 문재인 정부의 남은 임기 동안 공공기관 일자리를 2만6천 개 더 늘리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또 공공기관 채용비리 근절을 위한 제도 정비에 나서고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대책도 내놨습니다.
이수복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수복 기자>
정부가 문재인 대통령의 남은 임기 동안 공공기관 일자리를 지속해서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취업 시장이 여전히 얼어붙은 가운데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자는 취지입니다.
기획재정부는 누적 기준 2017년 9천 개, 지난해까지 3만4천 개가량 창출한 공공기관 일자리를 2만6천 개 늘려 2022년까지 6만 개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특히 국민 생활과 밀접한 공공서비스 부문과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중요성이 커진 소재·부품·장비 부문, 한국형 뉴딜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부문, 중소기업 육성 부문을 중심으로 인력을 채용합니다.
중기인력과 재배치 계획도 함께 마련해 공공기관 조직 운영의 효율성 저하도 막기로 했습니다.
또 사회적 형평성을 고려해 2023년까지 고졸 인재 신규채용비율 10%를 달성하고 2022년까지 여성임원비율도 23% 이상으로 올린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채용 비리 근절과 관련한 방향도 마련했습니다.
공공기관 채용 비위 건수는 2017년 170건에서 지난해 50건으로 줄었습니다.
정부는 이를 2022년까지 30건 미만으로 줄일 예정입니다.
아울러 공공기관 채용도 외부에 위탁해 공정성을 확보한다는 방침입니다.
또 지역 상생을 위해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 비율을 30%까지 끌어올리고, 2022년까지 혁신도시 입주기업 수를 1천 4백여 개에서 1천 800개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안전 관련해서도 공공기관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 사망 사고자의 60% 감축을 목표로 안전 관련 제도를 정비할 예정입니다.
공공기관의 안전수준을 5단계로 평가하는 '안전등급제'도 9월부터 시범도입해 내년 시행하고, 등급에 따라 인센티브와 페널티를 부여합니다.
(영상편집: 정현정)
아울러 기관마다 안전경영책임보고서 수립을 의무화하고, 내년 4월 공시하도록 했습니다.
KTV 이수복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657회) 클립영상
- 탄소중립 사회를 향한 첫걸음, 그린 뉴딜 추진방향과 주요 과제 [경제&이슈] 24:44
- 중증장애인 맞춤 돌봄서비스, 스마트돌봄스페이스 08:32
- 문 대통령 "한국판 뉴딜, 지역주도형으로 추진" 02:03
- 8월 17일 '임시공휴일'···"국민께 작은 위로되길" 02:15
- 전국 7곳 정수장서 유충 발견···차단조치 시행 02:44
- 신규확진 45명···강서구 요양시설 추가감염 02:19
- 베트남·중국, 한국 기업인 특별입국···하늘길 열린다 02:30
- 공공기관 일자리 2만6천 개 더 늘린다 02:24
- 코로나 백신 개발 속도..옥스포드·화이자 희소식 [월드 투데이] 0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