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은 앵커>
지난 6월 경기도 안산의 한 유치원에서, 식중독 사건이 발생해, 학부모 불안이 커졌는데요.
정부가 아이들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급식 체계'를 손보기로 했습니다.
이수복 기자입니다.
이수복 기자>
경기도 안산의 한 유치원입니다.
지난 6월 이곳 원생 등 117명이 급식을 먹고 식중독 의심증상을 보였습니다.
이 중 17명은 일명 '햄버거병'으로 불리는 용혈성요독증후군 진단을 받았습니다.
역학조사 결과 집단 식중독 원인은 관리가 부실한 식재료에서 대장균이 증식했기 때문으로 추정됐습니다.
정부는 해당 유치원을 고발하고 지난달 실시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전수 점검결과를 바탕으로 급식 안전대책을 마련했습니다.
녹취> 유은혜 /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총 4만4천 개가 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조사한 결과, 보존식을 보관하지 않거나 유통기한을 지키지 않는 등 식재료를 비위생적으로 관리한 사례가 다수 발견됐습니다."
전체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90%가 100인 미만 시설이라 영양사 배치의무가 없는 상황.
100인 이상 시설도 '공동영양사'제도로 영양사 1명이 5개 시설을 맡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소규모 시설에 영양사 면허가 있는 교육청 전담인력을 배치하기로 했습니다.
또 100인 이상 시설도 영양사 1명이 2개 시설만 담당하고, 200인 이상 시설은 영양사를 단독 배치하도록 제도를 개선했습니다.
역학조사에 필요한 보존식 보관도 50인 미만 유치원과 어린이집까지 의무화하고, 이를 어길 경우 과태료를 최대 500만 원까지 부과하도록 법령을 강화합니다.
정부는 이외에도 HACCP, 즉 식품안전관리인증제도 수준으로 식재료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유은혜 /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부실 식재료를 사용한 급식이 제공되는 일이 없도록, 유치원·어린이집 급식 위생·안전을 '식품안전관리인증제도(HACCP)' 수준으로 관리할 것입니다."
또 급식소위원회와 운영위원회 등 급식과 관련한 학부모 참여를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 영상편집: 박민호)
아울러 정부는 이 같은 개선안이 제대로 적용됐는지 유치원은 1년에 두 번, 어린이집은 1년에 한 번씩 전수점검을 시행할 예정입니다.
KTV 이수복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537회) 클립영상
- 영호남·충청 수해지역 방문···"빠른 지원이 관건" 02:31
- "특별재난지역 읍면동 단위 세부지정 검토" 01:59
- 소나기에 폭염까지···사상 첫 '50일 장마' 02:10
- 환경부 "4대강 보, 홍수 예방효과 없어" 02:11
- 김정숙 여사, 강원도 철원서 수해복구 봉사활동 00:24
- 30개 전통시장 폭우 피해···중기부, 긴급지원 00:27
- 靑 국민소통수석 정만호·사회수석 윤창렬 02:10
- 靑 "성범죄 처벌규정 강화, 피해자보호 노력" 00:32
- 홍 부총리 "수도권·세종 부동산 과열 대응 강화" 02:09
- 여행·영화·체육 소비할인권 6종···이렇게 챙기세요! 03:03
- 신규 확진 54명···결혼식 뷔페 고위험시설 지정 02:30
- 정부 "러시아 백신, 안전 입증돼야 국내 도입" 00:33
- 정부, 협의체 통한 논의 제안···"대화로 문제 해결" 02:39
- 정부, 병원단체에 진료시간 연장 요청 00:30
- 정부, 내일 대국민담화···의료계 "14일 집단휴진" 00:19
- 유치원·어린이집 급식체계 개선···집단식중독 막는다 02:25
- 미혼부에 자녀 출생신고 전에도 양육비 지원 00:32
- '그린뉴딜' 컨트롤타워 가동···'녹색복원' 속도 02:44
- "기업인 신속통로 적용지역 확대" 中 대사에 요청 02:25
- 건설노동자 생활안정자금 대부 9월 14일까지 연장 00:33
- 이재갑 고용장관, 민간 산재예방기관 간담회 00:30
- 임금체불 노동자, 온라인·팩스로 소액체당금 청구 00:32
- 재외동포 독립유공자 후손에 한국 국적 수여 00:30
- 해운산업 재건 '총력'···2025년 해운매출 51조 원 02:25
- 쿠폰 [뉴스링크] 02:47
- 한국 성장률 OECD 1위 [유용화의 오늘의 눈] 0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