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환 앵커>
의대정원 확대 정책을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의 입장차.
정부가 오늘 예정되었던 의사 국가고시를 일주일 연기하기로 하면서 사실상 한발짝 물러났습니다.
그러나 의대생들은 근본적인 정책 변화가 아니라며 단체행동을 계속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데요.
진료 공백 장기화 우려가 현실이 되면서 환자들의 불편과 피해가 커지자 국민들 사이에서는 집단휴진 동참 병원에 대한 보이콧 움직임도 일고 있습니다.
정부도 국시 재연기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못 박았는데요.
코로나19 전국 확산에 전공의들의 집단휴진까지 겹쳐 매일 고비를 맞이하고 있는 의료 현장.
어떻게 해야 극적 타결을 이룰 수 있을지 과제를 살펴봅니다.
(출연: 최영일 / 시사평론가)
최대환 앵커>
최영일 시사평론가와 함께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대환 앵커>
정부가 오늘 예정이었던 의사 국가고시 시험을 1주일 연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집단휴진에 대해 강경대응을 이어가던 정부가 한발 양보한 것으로 보이는데, 어떻습니까?
최대환 앵커>
그러나 의대생들을 대표하는 의대협은 국시 거부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혔죠.
정부의 양보에도 집단휴진은 계속 진행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휴진율도 계속 늘고 있다고요?
최대환 앵커>
전국 전공의들의 집단휴진이 12일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진료 축소가 잇따르면서 환자들의 피해도 커지고 있습니다.
파업 동참 병원에 대한 보이콧 움직임도 일고 있다고 하죠?
최대환 앵커>
이에 정부는 진료 공백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어제 3차 현장조사에 이어 환자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지원에 나서고 있는데요.
어떤 내용인가요?
최대환 앵커>
이런 와중에 의료계의 집단휴진을 두고 가짜뉴스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최근 SNS 등을 통해 공공의대 설립 정책과 관련한 내용이 확산되고 있다고 합니다.
정부가 추진 중인 ‘공공의대 설립’은 이번 의료 파업의 핵심 쟁점 중 하나라 논란이 더욱 커지고 있는데요.
어떤 내용이기에 논란이 되고 있나요?
최대환 앵커>
집단휴진에 이어 코로나19 가짜뉴스까지 다시 양산되면서 처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도 엄정 대응하겠다 밝힌 만큼 처벌은 가능하겠죠?
최대환 앵커>
정부 의료정책을 둘러싼 의사들과 정부의 갈등이 극단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정부와 의료계가 진전된 대화를 통해 극적 타결을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되는데요.
관련해 마무리 말씀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최영일 시사평론가 였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683회) 클립영상
- 내년 예산안 555조8천억···'한국판 뉴딜' 본격 추진 02:32
- "예산안 모레 국회 제출···국회 협력 당부" 00:30
- 신규확진 235명···사랑제일교회 구상권 청구 02:09
- 정부, 전공의 대승적 결단 촉구···의사국시 1주일 연기 01:57
- 한국철도, 추석승차권 예매 시작···100% 비대면 판매 00:18
-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 -3.2% 00:23
- 태풍 '마이삭' 북상···내일 제주·모레 부산 최근접 01:51
- 21대 첫 정기국회 오늘 개회식···100일간 진행 00:19
- 오늘부터 사흘간 서울안보대화···화상으로 진행 00:22
- BTS, 한국 가수 최초 빌보드 싱글 1위 00:24
- 정부세종청사 수소충전소 운영···안전성 우려 해소 02:22
- 파병 군인, 자가격리는 자비로? 정부 “사실과 달라” [사실은 이렇습니다] 05:04
- 라돈 침대 폐기물, 소각 매립···정부의 탁상행정? [사실은 이렇습니다] 04:05
- 5명 중 1명 감염경로 불명···코로나19 확산 현황은? 16:05
- 인도, 코로나 환자 '폭증'···일일 확진자 세계 최다 [월드 투데이] 03:45
- 의사국시 1주일 연기···정부-의료계 절충점 모색 과제는? 12:47
- 코로나19 국내 대응현황 브리핑 (20. 09. 01. 11시) 2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