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보라 앵커>
이달 초 국민참여형 뉴딜펀드가 발표됐는데요.
이 펀드가 투자될 투자 대상의 가이드라인이 나왔습니다.
로봇·스마트팜, 차세대 반도체등 40개 분야의 197개 품목입니다.
김용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김용민 기자>
국민참여형 한국판 뉴딜펀드는 20조 원 규모의 재원으로 우리나라를 이끌어 나갈 미래 산업에 5년 동안 집중 투자되는 사업입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 중대본 회의에서 한국판 뉴딜펀드의 투자 대상 가이드라인이 발표됐습니다.
현재 운용 중인 혁신성장 공동기준을 바탕으로 선정됐는데, 디지털뉴딜과 그린뉴딜 등에서 40개 분야입니다.
녹취> 홍남기 / 경제부총리
"혁신성장 공동기준을 토대로 40개 분야, 197개 품목을 사례로 제시하였으며, 투자 대상의 전·후방산업에도 투자가능토록 하여 뉴딜 생태계에 대한 폭 넓은 투자를 유도할 계획입니다."
차세대 무선통신, 맞춤형 의료, 지능형 데이터분석 등 디지털 뉴딜 분야에서 30개, 바이오소재, 신재생에너지 등 그린 뉴딜 17개로 이 가운데 로봇, 스마트팜 등 7개는 디지털, 그린 뉴딜 두 분야에서 모두 선정됐습니다.
품목은 197개로 정부는 현장의 의견을 받아 오는 11월 보완 확정할 계획입니다.
뉴딜 인프라 펀드 적용 범위도 마련됐습니다.
디지털과 그린 경제를 촉진하는 분야의 각종 사회기반 시설로 하수도, 분뇨 폐기물 처리시설 같은 경제활동 기반 시설과 유치원 학교 등 사회서비스 제공 시설을 말합니다.
5G망, 지능형 교통시스템, 스마트팜 통합제어 시스템 등은 경제활동기반시설에, 갯벌 등 탄소흡수원 조성 태양광 시설, 공공 와이파이 등은 사회서비스 제공시설에 포함돼 뉴딜인프라 펀드 투자가 가능합니다.
정부는 투자 범위 역시 조정 보완되고, 뉴딜인프라 심의위원회에서 신청 건에 대한 해당 여부를 최종 확정된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다음 달 달부터 뉴딜 분야별 투자 설명회를 열고, 운용방안과 투자 가이드라인 등을 설명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 영상편집: 김민정)
김용범 기재부 1차관은 정책형 뉴딜펀드와 뉴딜 인프라펀드가 내년 초 본격 조성될 수 있도록
준비작업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KTV 김용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703회) 클립영상
- 신규확진 38명···"대규모 집회 철회해야" 02:04
- 오늘부터 전월세전환율 2.5% 본격 적용 00:25
- 정 총리, 오늘 '코로나19 개발재원 국제회의' 연설 00:29
- 방탄소년단, 빌보드 싱글차트 '핫 100' 1위 복귀 00:28
- 한국판 뉴딜펀드, 40개 분야 197개 품목에 투자 02:28
- 긴급고용안정지원금 1차 지급도 아직인데 2차 지급 시작? [사실은 이렇습니다] 04:56
- 부동산 3법 개정 주택세금, 달라지는 점은? [사실은 이렇습니다] 04:27
- 산업재해 인명 피해·경제적 손실 증가세···생명안전권 확보 과제는? 12:18
- 연평도 실종 공무원 수사 중간발표 11:15
-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교전 이틀째 [월드 투데이] 02:25
- 코로나19 추세와 추석 특별방역기간 내용은? 09:39
- 4차 추경, 소상공인 맞춤형 지원 [브리핑타임] 02:35
- 확진자 냄새로 찾는다···공항 "수색견" [해외토픽] 04:16
-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화중진담] 1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