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화 앵커>
독감 백신을 맞은 뒤 사망했다는 신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그런데 질병관리청이 사망 사례를 조사한 결과, 독감백신과 사망 사이 인과성은 매우 낮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신경은 앵커>
질병청은 '백신 접종 중단'은 고려할 사항이 아니라며, 건강 상태가 좋은 날 접종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이수복 기자입니다.
이수복 기자>
질병관리청이 올해 독감 백신 접종과 관련 사망 사례 간의 인과성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질병청은 피해조사반 신속대응 회의에서 추가된 사망사례 25건에 대해 인과성 여부를 검토한 결과, 접종 후 급성 쇼크인 아나필락시스는 없었고 접종부위 통증과 같은 경증 이상 반응 외에 중증 이상 반응 사례도 없어 백신의 이상이나 접종 과정상의 오류는 낮다고 판단했습니다.
또 백신 중단에 대해서도 고려할 사항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사망 신고가 들어온 72건 가운데 40건을 부검해 사인을 분석하고 나머지 사망자에 대해서도 기저 질환 등 원인을 조사한 결과, 부검 여부를 확인 중인 1건을 제외한 71건에서 인과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사망자 대부분 고혈압 등 기저 질환이 있거나 뇌출혈과 같은 사인을 확정, 또는 추정할 수 있는 사례가 발견됐습니다.
또 사망자가 접종한 백신이 특정 원액, 특정 제조사로 편중되지 않았고 동일 접종기관에서 접종한 사례도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망 신고 사례들도 70대 이상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고 같은 백신을 접종한 성인과 소아에서는 동일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녹취> 정은경 / 질병관리청장(지난 26일)
"피해조사반의 전문가 검토 과정에서 백신과의 인과성은 매우 낮고, 백신 접종을 중단할 사항은 아니라는 판단입니다. 다만, 백신은 우리 몸에 항원 물질을 주사해서 면역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에 일부 과정에서 이상 반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편 현재(29일 0시 기준)까지 독감 백신 접종률은 58.1%로 대상자 1천900만 명 중 1천102만 명이 접종을 받았습니다.
정은경 질병청장도 청주 흥덕구 보건소를 찾아 독감 백신 예방 접종을 받았습니다.
만 55세여서 무료 예방 접종 대상자는 아니지만 불안감 해소를 위해 직접 접종에 나선겁니다.
(영상취재: 백영석 이기환 / 영상편집: 김종석)
질병청은 올해 독감 유행 수준이 예년보다 낮고 유행 시기가 늦어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접종을 너무 서두르지 말고 건강상태가 좋은 날에 예방접종을 받아 달라 재차 당부했습니다.
KTV 이수복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588회) 클립영상
- 신규 확진 125명···일상 밀접공간서 감염 속출 02:25
- "독감백신-사망 인과성 매우 낮아" 02:42
- 용인서 고병원성 AI 추가···차단 방역 강화 02:26
- 한일 국장급 협의···"日 성의 있는 자세 필요" 02:11
- 靑 "WTO 사무총장 선출, 아직 공식절차 남아" 02:22
- '52년간 통제' 청와대 뒤편 북악산 길 개방 02:14
- 호남권 지역균형뉴딜 포럼···'AI·신재생 선도' 03:05
- 건강보험·국세데이터 개방···지식재산 거래기관 육성 02:15
- 23차 목요대화···'코로나19 극복 예술계와의 대화' 00:23
-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 4천241가구 입주자 모집 00:23
- 국가관리 희귀질환 68개 추가···"환자 부담 감소" 02:19
- 가을철 산불 막는다···3D 산불확산예측시스템 구축 02:44
- '국립기상박물관' 개관···기상 유물 한자리에 02:28
- 외국인 주민, 총인구의 4.3% '222만 명' 00:24
- 걷기여행길 '남파랑길' 오는 31일 개통 00:22
- 수출중기-국적해운선사 상생협력 업무협약 00:31
- 여행업계 코로나19 극복 국회 포럼 개최 00:18
- 올해 화살머리고지에서 유해 300여 점 발굴 01:46
- 6·25 70주년 '한미동맹 기억 및 감사 행사' 개최 00:36
- 컨센서스 [뉴스링크] 02:50
- 로봇산업 선제적 규제혁신 [유용화의 오늘의 눈] 03:20
- 건강보험·국세데이터 개방···지식재산 거래기관 육성 [오늘의 브리핑] 04:34
- 코로나 시대의 숨은 영웅, 필수노동자를 지켜라 [클릭K] 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