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일상에서의 디지털 뉴딜
등록일 : 2020.12.02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비대면 산업이 전 분야에 걸쳐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공부하는 교실도 새로운 전환점을 맞게 됐습니다.
먼저 전국 모든 초중고 교실 38만실에 고성능 와이파이를 100% 구축합니다. 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오래된 컴퓨터와 노트북 20만대가 전부 신형으로 교체되면서 교사와 학생들 모두 스마트기기를 안정적이고 빠른 속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언제 어디서나 미래형 수업이 가능한 최첨단 교실이 만들어지는데요. 교실은 온라인 수업과 과목 간 융합 수업이 가능한 공간으로 조성하고, 학생은 맞춤형 학습을, 선생님은 다양한 형태의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게 됩니다. 디지털 뉴딜을 통해 확 달라지는 우리 아이들의 교실, 변화에 대비하고 앞서가는 교육을 기대해 봅니다.

최대환 앵커>
달라지는 학교와 교실만이 아닙니다. 공공시설과 도로 등 모든 인프라와 사회간접자본이 디지털 시대를 맞아 대격변을 준비하고 있는데요. 과연 우리는 디지털 뉴딜의 시대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서 더 상세한 이야기를 들어보겠습니다.

임보라 앵커>
디지털 뉴딜의 핵심 4대 분야 중 하나가 비대면 산업 육성인데요. 기존의 경제와 비교해서 어떤 점이 가장 크게 달라질까요?

(출연: 김현명 /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교수, 스마트모빌리티 연구센터장)

최대환 앵커>
이렇게 비대면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목표는 어디에 있다고 보시나요?

임보라 앵커>
기존의 제조업 중심의 경제와 어떤 점에서 달라지는지 궁금한데요.

(출연: 김기찬 / 가톨릭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해 왔던 경기부양책과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임보라 앵커>
사회간접자본이 디지털화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구체적으로 설명을 좀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마지막으로 디지털 뉴딜이 성공하기 위해 꼭 필요한 조건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