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디지털 뉴딜과 일자리
등록일 : 2020.12.02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고 글로벌 경제를 선도하기 위해 시작된 ‘한국판 뉴딜’ 특히 일자리 부분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2025년까지 160조 원을 투자해 총 190만 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구상입니다.
특히 디지털 뉴딜을 통해 총 58조 2000억 원을 투자, 일자리 90만 3000개를 창출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가운데 약 57만 개의 일자리는 각종 데이터 산업에서 나올 전망입니다.
그래서 데이터 라벨링이라는 직종에도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인공지능이 학습할 수 있도록 각 데이터에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이름표를 달아주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데이터를 수집하고 입력하는 작업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이는 곧 일자리로 연결된다는 겁니다.
디지털 뉴딜 분야의 대표적인 일자리라고 할 수 있는데요.
한국 데이터 산업의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하는 만큼,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습니다.

최대환 앵커>
한국판 뉴딜 정책이 발표되고, 디지털 뉴딜이 추진되면서 일자리에 대한 기대도 높은데요.
과연 얼마나 우리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지, 서울 스튜디오에 연결해서 좀 더 자세히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가톨릭대학교 경영학부 김기찬 교수님 자리 함께 해주셨습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김기찬 / 가톨릭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임보라 앵커>
그리고 스마트 모빌리티 연구센터장인 김현명 교수님 나와 계신데요. 안녕하세요.

(출연: 김현명 /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교수)

최대환 앵커>
정부가 한국판 뉴딜 정책을 추진하게 된 배경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요?

임보라 앵커>
그렇다면 한국판 뉴딜 정책을 추진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일까요?

최대환 앵커>
김기찬 교수님께서는 한국판 뉴딜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최대환 앵커>
막대한 국가 예산이 들어가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규모가 어떻게 되나요?

임보라 앵커>
디지털 뉴딜은 구체적으로 어떤 정책들이 추진되는지 구체적인 설명을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최대환 앵커>
디지털로 전환이 되면 로봇이 인간의 자리를 대신하게 되고 오히려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도 있는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임보라 앵커>
일자리가 늘어난다는 기대감도 있지만, 반면 양질의 일자리 확충으로 이어지기 어렵다는 우려도 있던데요. 이유가 무엇일까요?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