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환 앵커>
2020년, 앞으로도 영원히 코로나19를 빼놓고 설명할 수 없는 한 해가 되었습니다.
경제적으로도 마찬가지인데요.
대공황 이후 최악이었다는 코로나19 경제 위기, 그러나 우리는 OECD 중 가장 성공적인 경제방역을 이뤄냈습니다.
그러나 경제방역을 넘어 새로운 과제도 생긴 한 해였습니다.
급속도로 실생활에 적용된 비대면 서비스를 시작으로 가속화된 4차 산업혁명.
우리가 주도하지 못하면 끌려가는 신세가 될텐데요.
정부는 이 점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대규모 재원이 장기적으로 투입되는 한국판 뉴딜 정책을 내놨습니다.
코로나19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면서도 국회 한 편에선 결코 늦출 수 없었던 개혁이 시작되기도 했습니다.
3대 권력기관 개혁법이 통과되면서 권력의 더 세세하고 민주적인 분산이 가능할 근거가 마련됐습니다.
이처럼 2020년 한 해,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또 포스트코로나를 준비하기 위해 새로운 정책적 시도가 펼쳐졌는데요.
더 자세한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최영일 시사평론가와 함께합니다.
(출연: 최영일 / 시사평론가)
최대환 앵커>
2021년, 문 대통령은 새해가 되자마자 SNS로 짧은 신년사를 전했습니다.
상생의 힘, 일상의 회복 같은 표현이 쓰였는데요.
올해처럼 이렇게 명확한 해결과제가 주어진 적도 없지 않았습니까?
최대환 앵커>
새해 첫 일정으로는 공군지휘 통제기인 피스아이에 탑승해 초계비행을, 다음날인 2일에는 현충원 분향에 나섰는데요.
어떤 메시지가 나왔는지도 짚어 주시겠습니까?
최대환 앵커>
각 부처 장관들 역시 신년사를 발표했습니다.
과기부는 디지털혁신을, 환경부는 탄소중립을, 산업부는 미래차와 수출 지원 계획을 강조하는 등 각 부처가 당면한 과제가 언급됐는데요.
주목해서 보신 부분이 있으십니까?
최대환 앵커>
세계 각국 정상들의 신년사도 역시 코로나19 위기 극복이 공통된 주제였습니다.
위로와 희망, 공동체 정신에 대한 언급이 가장 많았는데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경우 재임기간 경제 성과를 강조하기도 했죠, 어떻게 보셨습니까?
최대환 앵커>
한편 매년 새해가 되면 북한의 신년사도 주목을 받았습니다.
한 해 남북관계에 대한 큰 그림을 볼 수 있었기 때문인데요.
일단 북한의 이번 신년사는 작년에 이어 서한으로 대체됐죠?
최대환 앵커>
서한의 내용 역시도 대외메시지 없이 북한 내부 결속을 위한 언급이 중심이었는데요.
관련 내용 어떻게 보셨습니까?
최대환 앵커>
세계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새해, 각국 정상들이 이처럼 비슷한 신년사를 낸 해도 없을 것 같은데요.
이 세계적 과제가 빨리 해결되길 바라겠습니다.
관련해서 마무리 말씀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최영일 시사평론가와 함께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761회) 클립영상
- 신규 확진 1,020명···"백신 접종 차질 없이 준비" 02:19
- 요양병원 동일집단격리···집단별 공간분리·전원 02:47
- 전국 5명 이상 '모임금지'···스키장 인원제한 운영 02:02
- 3차 재난지원금 6일 공고···11일부터 지급 02:05
- 본사-가맹점 분쟁 자율조정···도입 기업에 인센티브 01:45
- 올해 사회복무요원 군사교육 오늘부터 소집 00:22
- 신재생에너지 늘리려면 여의도 170배 땅 필요? [사실은 이렇습니다] 05:45
- 국민취업지원제도, 단순 현금지원 포퓰리즘? [사실은 이렇습니다] 04:16
- 코로나19 3차 유행 정점···향후 2주 방역 과제는? 11:37
- 새로 바뀌는 교통법규 [클릭K] 04:55
- 유럽·남미서 '광란의 신년 파티' 적발 [월드 투데이] 02:38
- 2021년 신축년 새해···문 대통령 신년사 의미는? 16:36
- 2020 국민송 만들기 프로젝트 2부 09:39
- 이제 군대에서도 '채식' 군대리아 나온다? [S&News] 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