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전국 33곳 '드론 특별자유화 구역' 지정···상용화 속도
등록일 : 2021.02.15
미니플레이

신경은 앵커>
의료 장비 배송과 수질 감시까지.
'드론'의 역할이 무궁무진하죠.
다만 이런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실험을 해야하는데, '규제'에 막혀 쉽지 않았는데요.
정부가 이런 실험을 할 수 있는 33곳을 지정했습니다.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국토교통부 '드론 배달 시연 행사'
(장소: 지난해 9월 세종시)

음식물이 담긴 박스가 드론에 실립니다.
다른 드론들 역시 플라스틱 상자를 싣고 시동이 켜지자 가뿐히 하늘 위로 오릅니다.
잠시 뒤 건물과 호수를 거쳐 정확한 장소로 배달이 완료됩니다.
무엇이든 곳곳으로 공중 수송하는 이 배달 드론은 국내 상용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동안 새로운 드론 서비스를 테스트하는 실증에 이르기까지, 거쳐야 하는 규제가 많아 기업들의 불편은 컸습니다.
정부가 그동안 7개월에 거친 심사 끝에 전국 15개 지자체에서 드론 실증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드론 특별 자유화 구역' 33곳을 최종 확정했습니다.
분야별로는 드론을 이용한 환경모니터링 구역과 교통, 물류배송 구역 방역 구역 등 그 종류도 다양한데, 지역 특성에 맞는 사업 모델을 최적화된 환경에서 실증할 수 있습니다.
주요 구역으로는 먼저 제주에서 물류배송을 위한 통합 플랫폼 구축과 해양환경 모니터링이, 경남 창원에서는 배송드론 시범 운행과 강과 바다의 수질환경 모니터링 실증이 이뤄집니다.
광주는 드론 교통관리시스템 운영을, 경주에서는 문화재 훼손점검과 드론아트쇼 등 관광상품 개발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외에도 세종과 대전에서는 도심 물류 배송과 안전관리를 강원 원주에서는 전염병 차단을 위한 방역 드론을 실증하고, 인천 옹진에서는 드론택시 긴급의료 서비스 진행합니다.
이번에 선정된 드론 특별자유화 구역의 운영 기간은 2년으로 이 기간에는 드론 비행에 필수사항인 사전 비행 승인 절차 등 각종 행정 규제를 받지 않고 실증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또 필요에 따라 추가 절차를 거쳐 운영 기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국토부는 해당 구역에서 비행 관련 규제가 완화되더라도, 항공안전기술원의 관리 감독과 지자체의 철저한 현장 감독은 물론 사고대응 협력체계도 안전하게 관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김민정)

KTV 이리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660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