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또 다른 주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미디어와 콘텐츠 산업 중심의 구독경제가 전 세계적으로 급성장하는 상황에서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치면서 올해도 디지털 구독경제 서비스 시장이 크게 성장할 전망인데요.
그런데 일각에서 무료나 할인 이벤트를 통해 가입자를 모은 뒤, 별다른 안내 없이 유료로 전환하고 또, 그 사실을 알리지 않아 소비자 피해가 늘고 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금융위원회 중소금융과 유원규 사무관과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유원규 / 금융위원회 중소금융과 사무관)
최대환 앵커>
요즘 멜론이나 넷플릭스와 같은 서비스 많이들 이용하죠.
그런데 이런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하다가 나도 모르는 사이에 유료 결제로 전환되는 일이 있어 소비자 피해가 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 부분 사실 확인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앞서 말한 부분과 함께 가입 절차는 쉽게, 해지나 환불 절차는 어렵다는 문제도 제기되고 있는데요.
이 부분은 어떻습니까?
최대환 앵커>
구독경제 규모가 커지는 만큼 소비자 피해도 늘고 있는 시점에서 소비자 보호를 위한 방안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앞으로 어떤 보호 방안이 마련되게 됩니까?
최대환 앵커>
네, 금융위원회 중소금융과 유원규 사무관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801회) 클립영상
- 신규확진 470명···AZ 백신 65세 이상 접종 논의 02:12
- 문 대통령, 오늘 여당 원내대표단과 간담회 00:19
- 문 대통령 " 부동산 공급 더 속도감 있게 추진" 01:47
- "관용 없을 것"···오늘 검경 수사협력방안 논의 02:32
- 아스트라제네카, 청년층에서 부작용 심하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04:54
- 구독경제 서비스 나도 모르게 유료 결제로 전환? [사실은 이렇습니다] 04:16
- 60,662명 신규 접종···10일 0시 기준 446,941명 1차 접종 완료 09:58
- 미얀마 강경진압 계속···미성년자 사슬로 때려 [월드 투데이] 01:34
- 'K-주사기' 나가신다···전 세계서 '주목' [S&News] 03:51
- 한미 방위비분담금 합의 등···이번주 주요 이슈는? 14:18
- '코로나19 후유증' 이렇게 극복하세요. [굿모닝 해외토픽] 03:42
- 코로나19 국내 대응현황 브리핑 (21. 03. 10. 11시) 11:29
- 일상 회복의 첫걸음 백신 접종 시작 [클릭K] 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