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은 앵커>
생활에 꼭 필요한 정책을 모아모아 '의미'를 알기 쉽게 풀어드립니다.
'정책 말모이' 시작합니다.
오늘의 주제, 열어볼까요?
#메가시티
바로 '메가시티'입니다.
지난달 25일, 문재인 대통령이 부산을 방문했습니다.
'동남권 메가시티 추진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서입니다.
'메가시티'는 인구 천 만명 이상의 거대한 도시를 말합니다.
'동남권 메가 시티'는 여기에서 더 확장된 개념인데요.
'압축'과 '연결' 두 가지 키워드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창원과 부산, 울산에 도시 기능을 압축하고 김해, 진주까지 연결해 '거대한 광역권'을 만들겠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수소와 2차 전지 등 미래 먹거리 분야에 '공동 전선'을 구축하고, 지역 인재와 스타트업도 함께 키우겠다는 것입니다.
이렇게해서 '동남권의 인구 유출'을 막자는 것인데요.
왜 이런 방안이 나왔을까요?
여기 그래픽을 보시죠.
수도권 인구는 약 2,595만 명.
그러니까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살고 있습니다.
반면 지역에 사는 인구는 점점 줄어들고 있죠.
인구의 절반이 수도권에 빽빽하게 모여사는 반면, 지역은 사라지는 게 겁날 정도로 한산해지고 있습니다.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이미 일본은 우리보다 앞서 이런 위기에 직면했는데요.
고령화로 인한 인구 감소, 수도권 집중이 문제였죠.
이런 현상이 이어지면, 국가 발전에 걸림돌이 됩니다.
우리 정부는 균형 발전의 해법으로 '지역 균형 뉴딜'을 내놨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동남권 메가 시티'가 선도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지난 25일, 동남권 메가시티 구축 전략 보고)
“동남권과 같은 초광역 협력 사례가 다른 권역으로 퍼져나간다면 우리가 꿈꾸던 다극화, 입체화된 국가균형발전 시대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 '가덕도신공항 특별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광역 교통망을 중심으로 부·울·경을 '1시간 생활권'으로 묶는데 속도가 붙고 있는데요.
#지역소멸 위기, 극복할 수 있습니다.
동남권 메가시티
초광역 도시로 거듭날 '동남권 메가시티'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할 첫 걸음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정책 말모이' 였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678회) 클립영상
- LH 의혹 1차 조사결과···투기 의심 20명 확인 02:38
- '부동산 범죄와의 전쟁' 선포···"곧바로 퇴출" 02:42
- 靑 "1급 비서관급 이상 투기 의심거래 없어" 01:54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만 65세 이상' 확대 02:37
- 신규 465명···'기타 변이' 감염 75건 확인 02:30
- '온도일탈' 백신 770회분 사용중지·회수 00:27
- 렘데시비르 4천975명·렉키로나주 381명에 투여 00:23
- 사립유치원 공공성 강화···누리과정비 26만원으로 인상 02:11
- 아파트에서 태양광 생산·거래···규제특례 14건 승인 02:13
- 靑 NSC "한반도 평화 위한 한미 공조 구체화" 00:30
- 38차 목요대화···보호종료아동 삶의 질 제고 논의 00:28
- 특수고용·일용직 소득 파악···시행령 입법예고 01:59
- 노역수형자 사망 예방···집행유예·사회봉사 대체 02:16
- 법무부, 검찰총장 후보추천위원회 구성 00:23
- 5월 말부터 공모주 중복청약 금지 00:22
- 대규모 폭발사고 적도기니에 '20만 달러 지원' 00:24
- 수도권, 내일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시행 00:20
- 여성 74.6%·남성 51.7% "내 성별에 불평등" 03:00
- 지역위기극복 첫 걸음 '동남권 메가시티' [정책 말모이] 02:37
- 온난화로 기온 상승···'3월 식목일' 검토 [터치 핫이슈] 02:38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만 65세 이상' 확대 [오늘의 브리핑] 03:18
- 'K-주사기' 나가신다···전 세계서 '주목' [S&News] 03:51
- 일상 회복의 첫걸음, 백신 접종 시작 [클릭K] 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