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9년 통상환경 변화와 전망
김용민 앵커>
오늘 첫 번째 순서 ‘경제&이슈’ 시간입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 (FTA)이 발효된 지 9년! 그동안 대미 교역은 꾸준히 증가했고 지난해 코로나19 여파에도 우리 수출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 출범에 따라 통상환경 어떤 변화에 따를지, 그에 따라 필요한 대응전략은 무엇일지, 최배근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와 함께 자세히 살펴봅니다.
(출연: 최배근 /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
김용민 앵커>
유럽은 코로나19 확산으로 봉쇄조치가 길어지면서 곳곳에서 봉쇄 반대 시위가 이어지고 있고, 브라질은 통제불능 수준의 확산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혼란이 잇따르는 각국 상황들 짚어주시죠
김용민 앵커>
목욕탕, 체육시설, 병원 등 집단감염으로 전파력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는 국내 코로나19와 백신 접종 상황도 짚어주시죠
김용민 앵커>
한미 FTA 발효 9년차! 대미 교역은 2017년을 제외하고는, 대세계 교역 증감률을 지속적으로 웃돌고 있습니다.
그동안 한미 간 교역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요?
김용민 앵커>
지난해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대미 수출이 전년 대비 1.1% 증가했습니다.
우리 수출입을 이끈 주요 산업은 어떤 분야인지 양국 수출입 교역 동향도 짚어주시죠
김용민 앵커>
주요국 대비 한미 간 상대 시장점유율을 어떻습니까?
양국 모두의 이익이 되고 있는 것인지, 또는 경제성장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십니까?
김용민 앵커>
코로나19발 글로벌 경기침체로, 2016년 이후 3년 만에 투자유치 감소세로 전환됐지만, 미국의 對한 투자가 반도체-클라우드-전자상거래 등 4차 산업 관련 신산업 분야로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한미 간, 향후 투자가능성 높은 산업분야는 어디일까요?
김용민 앵커>
지난 3월 1일 미국 무역대표부가 바이든 행정부 무역정책 주요 아젠다가 담긴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일각에선 트럼프 정부보다 더 센 보호무역 카드가 나올 수도 있다는 우려도 있었는데요.
한미 간 무역에 영향을 미칠 부분들, 짚어주시죠
김용민 앵커>
지난 주말 미중알래스카 담판이 있었지만 공동발표문 없이 종료가 되어 당분간 미중 갈등 상황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우리도 다음 달 초 통상정책라인의 미국 방문이 추진 중인데요.
미중 갈등 상황과 바이 아메리칸에 대비한 전략이 필요할 듯한데요?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최배근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였습니다.
오늘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