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환 앵커>
미얀마 군경의 무차별 사격에 시위와 관련 없는 어린이들까지 잇달아 희생되는 등, 최근 미얀마 사태가 점점 더 심화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미얀마 사태 흐름과 우리 정부의 대응 과제를 살펴봅니다.
임보라 앵커>
조충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조충제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
최대환 앵커>
쿠데타를 규탄하는 시위대를 향한 미얀마 군경의 총탄과 폭력에 연일 안타까운 희생이 커지고 있습니다.
우선 지금까지의 주요 타임라인을 통해 미얀마 사태에 대한 개요부터 짚어주시죠.
임보라 앵커>
미얀마에서는 사망자와 부상자가 속출하는 쿠데타와 유혈사태가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번 쿠데타의 배경은 무엇이며, 미리 예측이 어려웠는지 궁금합니다.
최대환 앵커>
미얀마인들은 1988년 '8888 항쟁'과 2007년 '샤프론 항쟁'을 거쳐 3번째 군부 저항 운동을 이어가는 만큼, 민주화를 위한 국제적인 협조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UN 안보리 제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임보라 앵커>
민주주의와 인권을 강조하는 바이든 행정부의 경우, 미얀마 사태를 '쿠데타'로 규정하고 있는데요, 미국을 비롯한 오랫동안 미얀마와 교류해온 일본 등 주요국의 제재 움직임은 어떻습니까?
최대환 앵커>
미얀마는 '아시아의 마지막 신흥시장' 으로서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번 사태로 인해 경제적 타격을 피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임보라 앵커>
문재인 대통령은 아시아 정상 가운데 가장 먼저 미얀마 당국의 대응을 규탄한 데 이어 정부 차원의 제재를 행동에 옮겼습니다.
한국 정부가 독자적으로 타국에 제재를 나선건 극히 이례적인 일이기도 한데요, 외교적 경제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칠 거라고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우리나라는 미얀마와의 교역과 투자는 많지 않지만 ODA와 금융거래에 대한 제재가 이어진다면 한국의 대미얀마 개발협력 이라든지 현지에 진출한 기업들의 비즈니스에 막대한 지장이 초래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어떤 대응 전략이 필요할까요?
임보라 앵커>
쿠데타에 맞선 미얀마 민주화 운동에 한국은 협력과 연대의 마음을 적극적으로 표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우리 정부의 과제 마무리 말씀으로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조충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811회) 클립영상
- 4·7 재·보궐선거 대국민 공동 담화문 발표 06:58
- 4차 재난지원금 포함 15조 규모 추경 국회 통과 01:37
- 합참 "북한, 발사체 2발 발사"···NSC상임위 긴급회의 00:19
- 신규 430명···"백신 허위정보 생산 멈춰야" 02:01
- 국민 10명 중 7명 "코로나19 백신 접종 의향" 02:42
- 고위공직자 평균재산 14억···재산변동사항 공개 00:25
-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금융상품도 '환불' 00:30
- 오늘 한러 외교장관 회담···'언론발표' 예정 00:19
- 산업단지 대개조 사업 5곳 선정···스마트 혁신 가속화 03:13
- 문 대통령 백신 접종 주사기 바꿔치기? [사실은 이렇습니다] 04:45
- 노인일자리 사업 과도한 확대에 현장 혼선 초래? [사실은 이렇습니다] 03:25
- 신남방정책 요충지 미얀마 군부 유혈사태 심화···정부 대응 과제는? 17:47
- 똑똑한 데이터로 구급차 출동 빨라진다 [S&News] 04:06
- 홍콩·마카오, 화이자 백신 잠정 중단 "뚜껑에 결함" [월드 투데이] 01:29
- 추경안 국회 본회의 통과···민생경제 회복할까? 14:02
- "안전·공정 선거"···확진자·격리자 투표권 보장 02:27
- 국방부 신원확인센터 준공···"신원확인율 향상" 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