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욱 앵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오늘 열린 관훈토론회에서,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은 현 단계에서 받아들일 수 없다며, 세 가지 조건을 요구했습니다.
또 주변국들의 우려를 전하면서, 국제 여론이 우리에게 불리하지 않다고 평가했습니다.
채효진 기자입니다.
채효진 기자>
외교부 장관 초청 관훈토론회
(장소: 오늘 오전, 서울 한국프레스센터)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 참석해,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은 현 단계에서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정 장관은 일본 측에 우리 국민의 건강과 안전, 해양 환경을 담보할 수 있는 충분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또 우리 정부와 사전 협의를 충분히 해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정 장관은 이번에도 일본이 임박한 시점에 통보했다며, 가장 영향을 받을 인접국으로서 이와 같은 협의 태도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함께 국제원자력기구 IAEA 검증 과정에 우리 측 전문가와 연구소 대표의 참여를 보장해달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정의용 / 외교부 장관
"이러한 조건들이 반드시 우리가 기대하는 수준으로 충족이 돼야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을 다시 말씀드립니다."
정 장관은 일본의 이번 조치에 유일하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미국에도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미국 측이 오염수가 아닌 '처리수' 표현을 쓴 과학적 근거, 일본의 결정이 투명하게 이뤄졌다고 평가한 근거 등을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정의용 / 외교부 장관
"(미국이) '처리수'라고 한 과학적 근거가 뭐냐? 우리는 아직도 이것을 '오염수'라고 본다. 미국의 입장을 분명히 해달라고 요청했는데 아직 구체적인 답변은 못 들었습니다."
정 장관은 태평양도서국포럼 PIF, 유럽연합 EU 등 주변국들의 우려를 전하면서, 국제적 여론이 절대 우리에게 불리하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일본이 유엔해양법협약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어떤 사법 조치를 취할 수 있는지 상당히 면밀하게 검토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앞서 분쟁 해결 절차를 일단 거쳐야 한다며, 상당한 수준의 위험이 있을 때 잠정 조치를 어떻게 할 수 있는지 세부적인 검토도 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영상취재: 김윤상, 김태우 / 영상편집: 장현주)
정의용 장관의 관훈토론회는 KTV 국민방송 TV와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됐습니다.
KTV 채효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07회) 클립영상
- 문 대통령 "사면론, 국민 공감대·통합 고려해야" 03:03
- 뉴욕타임스 인터뷰···"북미 빨리 마주앉아야" 01:46
- 올해 사전청약 공급물량 3만 200가구···7월부터 시작 02:59
- 부동산 당정협의 신속 진행···5월 LH 혁신방안 발표 02:18
- 신규확진 731명···한시생계지원 '50만 원' 02:51
- 상반기 1천 2백만 명 접종···"한미 백신 스와프 협의" 02:30
- 3주간 학교 집중방역···서울 코로나 선제검사 도입 02:22
- 문 대통령, '사지마비 간호조무사' 지원 검토 지시 00:34
- 김부겸 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 국회 제출 00:24
- 김정숙 여사, '태국 한국어교원 파견 발대식' 축사 00:28
- "日 결정 수용 못해···국제여론 불리하지 않아" 02:40
- 국산 2층 전기버스 운행···서울~인천 달린다 02:14
- 중기 1분기 수출 역대 최고···방역물품·반도체 주도 01:59
- 정부, 야스쿠니 공물봉납에 "실망과 유감" 00:28
- 한국, 유엔 마약위원회 위원국 당선 00:23
- 개인정보 정책 논의 '미래포럼' 발족 00:30
- 2033년 경항모 확보···"순수 운영비 연간 500억 원" 02:58
- 3주간 학교·학원 집중방역···서울 학교 선제 PCR 검사 [오늘의 브리핑] 03:51
- 백범 김구 선생의 '소원'···문화강국 한국 [터치 핫이슈] 02:49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방류, 왜 위험할까? [브리핑타임] 0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