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해마다 증가하는 촉법소년···대책은? [터치 핫이슈]
등록일 : 2021.05.11
미니플레이

박성욱 앵커>
관심을 모으는 사안들을 짚어보는 터치 핫이슈 시간입니다.
'촉법소년'이 면죄부?
오늘의 주제인데요.

촉법소년(觸法少年) 범법행위를 저질렀지만 형사책임능력이 없어서 형사처벌을 받지 않는 미성년자.
현행법상으로는 만 10세 이상~14세 미만의 형사 미성년자를 말합니다.
경찰청에 따르면 2015년 6천551명이던 소년부 송치 촉법소년은 2019년 8천615명으로 무려 31.5%가 늘었습니다.
유형별로는 절도가 4천500여 건으로 가장 많았고 폭력과 강간·추행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4년 사이 절도와 폭력 범죄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이 기간 살인과 강도를 저지른 촉법소년도 각각 1명과 7명이었습니다.
이처럼 중범죄를 저질러도 촉법소년은 형사처벌을 받지 않고 감호위탁이나 사회봉사명령, 보호관찰 등의 처분을 받습니다.
심지어 이 같은 점을 악용하는 사례마저 잇따르고 있습니다.
강원도 원주에서 발생한 수십 건의 차량 절도 사건.
일당을 검거했지만 중학교 1학년, 만 열네 살이 안 된 촉법소년이었고 처벌도 못하고 풀어줘야했습니다.
또 다른 차량 절도 건으로 이들을 다시 잡았지만 이들의 입에서는 "촉법소년인데요" 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형사처벌을 받지 않는다는 걸 알고 두려움 없이 범죄 행각을 이어온 겁니다.
이 같은 일이 알려질 때마다 촉법소년 법령 개정을 통해 대상 연령을 낮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입니다.
전문가들은 최근의 만 14세 미만 소년들의 지적·신체적 능력이 훨씬 향상된 만큼 이런 변화 양상이 법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또 범죄 사안별로 강하게 처벌할 사례와 교화에 주력할 사례를 구분해 실질적인 개선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절도, 강도, 추행, 살인...
촉법소년이라고 넘기기에는 피해자들의 피해가 너무나 큰 범죄들입니다.
분명한 것은 촉법소년이 더 이상 범죄의 면죄부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겠죠.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해마다 늘고 있는 촉법소년의 범죄율 줄이기에 실효성 있는 정책 논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터치 핫이슈였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