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적극행정·균형인사···'인사혁신' 4년 성과
등록일 : 2021.05.11
미니플레이

박성욱 앵커>
인사혁신처는 적극행정으로 승차 진료형 선별 진료소 등 방역 정책을 신속하게 도입했습니다.
또 균형인사를 추진해 정부 여성 관리자 비율도 꾸준히 늘고 있는데요.
임소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임소형 기자>
공공의 이익을 위해 창의성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적극행정.
인사혁신처는 지난 2019년 적극행정 제도를 도입한 이후 적극행정 확산에 힘써왔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속 전 세계로부터 주목을 받은 승차 진료형 선별진료소는 대표적인 적극행정 사례입니다.
이와 함께 진단키트 등 핵심적인 방역 정책들이 모두 적극행적으로 신속히 도입됐습니다.

녹취> 최병환 / 국무조정실 국무 1차장(지난해 4월)
"이번 코로나19 대응과정에서 국내외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진단키트의 신속한 승인과 드라이브스루 등 적극행정 사례들은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적극행정 제도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입니다."

중앙행정기관이 적극행정 제도를 활용한 실적은 지난 2019년 42건에서 지난해 486건으로 11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적극행정을 한 우수 공무원도 지난 2019년 294명에서 지난해 934명으로 크게 늘었습니다.
인사처는 그동안 여성관리자 임용 확대에도 앞장섰습니다.
중앙부처 본부 고위공무원 가운데 여성 비율은 지난 2018년 6.7%에서 지난해 8.5%로 증가했습니다.
과장급 여성 비율도 지난 2018년 17.5%에서 지난해 22.8%로 상승 추세입니다.
인사처는 내년까지 여성 고위공무원 10%, 과장급 25%를 달성할 계획입니다.
인사처는 공직윤리 제도 역시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공직자에 대해 모든 재산을 등록하도록 하고 부동산은 형성 과정까지 신고를 의무화했습니다.
또 취업제한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6월 취업심사 대상기관으로 2천744곳을 추가했습니다.
이밖에도 공무원 재해보상법을 제정해 순직 요건을 확대하는 등 공무상 재해에 대한 국가책임을 강화했습니다.
(영상편집: 이승준)
인사처는 앞으로도 국민에게 신뢰를, 공무원에게는 자긍심을 심어줄 수 있는 인사혁신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TV 임소형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