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취학 전 장애아동 지원 강화···특수교사 실태조사
등록일 : 2021.05.13
미니플레이

박성욱 앵커>
정부가 '취학 전 장애아동을 위한 지원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특수교사가 얼마나 부족한지 실태를 조사하고, 권역별로 '공공어린이 재활 병원'도 건립할 예정입니다.
박천영 기자입니다.

박천영 기자>
지난해 전체 영유아 가운데 장애인 등록 영유아는 0.46%로, 1만 명에 육박합니다.
2013년 7천400여 명에서 매년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장애 영유아의 경우 학령기로의 원활한 연결이 중요하고 세심한 보호가 필요하지만 종합적인 접근과 지원은 부족한 실정.

제8차 사회관계장관회의
(장소: 12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정부는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장애아동 지원 종합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우선 유치원과 어린이집 특수교사 부족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관련 실태 조사를 벌입니다.

녹취> 유은혜 / 사회부총리
“장애를 가진 아이들이 교육받을 권리를 온전히 누릴 수 있도록 (중략) 노력하겠습니다. (중략) 장애아동 모두가 질 높은 특수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특수 교사 수급에 관한 실태 조사와 어린이집 특수 교사의 처우개선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장애 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의 자격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장애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와 재활서비스를 편리하게 받을 수 있도록 국가의 책임도 강화됩니다.
영유아 건강검진 정보와 위기 아동 조기발견 시스템을 연계해 검진을 제때 받지 않는 경우 안내는 강화되고, 건강검진 항목의 횟수를 늘리고 세분화해 일상에서 장애를 발견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됩니다.
거주지에서 전문적인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권역별 공공 어린이 재활병원을 건립합니다.
경남과 충남에는 병원 2곳이, 강원, 충북, 경북, 전남, 전북 등엔 센터 8곳이 세워집니다.
장애 아동을 포함한 모든 아동이 문화, 체육, 놀이 등을 즐길 수 있도록 휠체어 그네와 같은 놀이기구의 안전인증과 설치기준을 마련하는 등 환경도 조성해 나갑니다.
정부는 아울러 장애 아동 가족에 대한 지원 사업을 활성화하고, 가족 대상 휴식과 상담 지원을 늘려 부모들에 대한 양육 부담도 덜어준단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안은욱 / 영상편집: 장현주)
또 앞으로 관계부처 합동으로 장애아동 전반에 대한 실태 조사를 벌이는 등 종합 통계 작성 방안도 모색합니다.

KTV 박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21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