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다음 주제 자세히 들여다 보겠습니다.
에너지 전환, 정부가 추진하는 역점 과제 중 하나죠.
수소경제 로의 전환이 이에 속하는데요.
그러려면 수소 충전소를 확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최근에 정부에서는 수소충전소 설치 확대를 추진 하고 있는데요.
최근 인천시와 경기도 양주 등 전국 16곳에 수소충전소 설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각에서는 이번 추진과 관련해서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환경부 수소모빌리티혁신추진단 염정섭 과장과 사실 여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과장님, 안녕하세요.
(출연: 염정섭 / 환경부 수소모빌리티혁신추진단 과장)
최대환 앵커>
우선, 일부 언론에서는 충전소 설치 예정 지역의 주민들이 충전소가 들어서는 것을 반대하고 있어 향후 심각한 사회적 갈등을 예고하고 있다며 주장하고 있습니다.
사실 여부 확인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그런가하면 이런 지적도 있습니다.
오는 7월 14일부터 대기 환경보전법이 시행 될 예정이죠.
이 법안에 따르면 수소 충전소 설치 계획을 환경부 장관이 승인하면, 지자체에서 인허가를 받은 것으로 간주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런 법 개정으로 환경부에서 지자체에 인허가권을 넘겨받아 본격적인 사업에 나선다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이 보도 내용대로라면 수소충전소 인허가와 관련해서 지자체 권한이 없어지는 건가요?
최대환 앵커>
환경부에서 인허가권을 가져가는 것이 아니라 지자체와 협의를 거쳐 최종 결정을 하는 거라는 말씀이군요.
그런데, 이런 주장도 있습니다.
환경부에서는 법 통과 이전에 우선사업대상자를 선정해 놓고 법 통과와 동시에 인허가를 내서 속도전을 벌이겠다는 의도다, 이런 내용인데요, 어떻습니까?
최대환 앵커>
네, 지금까지 수소충전소 설치 인허가와 관련해서 환경부 수소모빌리티혁신추진단 염정섭 과장과 짚어 봤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844회) 클립영상
- 다시 700명대···60~64세 접종 예약 시작 02:10
- 모더나백신 중앙약심위 검증 결과 공개 00:21
- 3차 도심 복합사업 후보지 대구·부산 4곳 선정 02:29
- 한-이스라엘 FTA 서명···자동차 등 수출증가 예상 02:27
- 오늘부터 전동킥보드 탈 때 '면허·헬멧' 필수 00:19
- 다음달 14∼18일 전역예정 장병 온라인 취업박람회 00:28
- 미주·유럽항로에 선박 투입···"수출물류 애로 해소" 02:24
- 아동학대 대응인력 고의·중과실 없으면 면책 추진 02:14
- 30~40대 AZ 백신 접종, 이득보다 위험이 크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05:08
- 수소충전소 설치 인허가권, 지자체 권한 없어진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03:30
- 오늘부터 60~64세 백신 접종 예약 시작···접종 규모와 과제는? 16:53
- 미국 CDC 자문위, 청소년 화이자 백신 접종 권고 [월드 투데이] 04:29
- '이건희 컬렉션'···언제, 어디서 볼까? [S&News] 04:45
- 코로나19와 주거위기가구···향후 주거정책 방향은? 12:09
- 임대 시장, 투명하게 관리한다! 전월세 신고제 [클릭K] 04:09
- 마을기업, 마을마다 하나씩···3천500개로 확대 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