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대 AZ 백신 접종, 이득보다 위험이 크다?
최대환 앵커>
언론보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짚어보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간입니다.
최유선 팩트체커 전해주시죠.
최유선 팩트체커>
현재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해외에서만 발생하고 있는 희귀 혈전증 위험을 고려해 30대 이상만 접종하고 있습니다.
그 근거는 질병관리청이 백신 접종 이익과 위험을 비교한 자료에 있었는데요.
그런데 최근 한 언론이 이 자료를 근거로 백신 효과가 3개월 지속될 경우 정부 발표와 다르게 30~40대에서도 접종 위험이 컸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내용 확인해 보겠습니다.
앞서 말한 분석 자료 입니다.
백신의 효과 지속 기간, 일일 평균 확진자 수로 총 6가지 시나리오를 작성했습니다.
기사가 언급한 시나리오는 그중에서 가장 비관적인 경우인데, 예방접종전문 위원회 등은 우리나라의 백신 접종 주기, 확진자 수를 고려해 다른 시나리오를 선택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의 2차 접종 간격이 최장 12주이기 때문에 접종효과는 6개월로 산정됐습니다.
여기에서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이득을 희귀 혈전증으로 인해 사망할 위험으로 나눈 수치가 30대 이상 부터 1보다 큽니다.
즉, 백신을 접종했을 때 사망을 예방하는 이득이 더 크다는 겁니다.
이에 더해 연령이 높아질수록 백신 접종 이득이 크게 증가하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같은 기사를 살펴보겠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의 안전성을 의심한데 이어 우리나라 백신 접종 정책이 아스트라제네카 위주라며 화이자 등 다른 백신이 추가 도입돼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사실인지, 팩트체크 해보겠습니다.
우선 정부가 계약한 코로나19 백신의 총 물량은 1억 9천 2백만 회분 입니다.
이중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비중은 얼마나 될까요?
아스트라제네카 계약 물량은 총 2천만 회분, 전체 계약 물량의 10%밖에 되지 않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위주의 접종 정책이다, 이런 말은 사실이 아닌 겁니다.
지금까지 접종한 백신을 살펴봐도 아스트라제네카는 200만 회분 화이자는 230만 회분 접종됐습니다.
화이자 도입을 촉구 했던 기사와 달리 오히려 더 많이 접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물론 어떤 백신이 더 좋다, 이런 것은 없습니다.
두 백신 모두 세계보건기구 WHO와 유럽의약품안전청 EMA에서 안전성과 효과성이 인정된 바 있습니다.
알록달록한 색깔로 손이 가게 하는 가공식품 대표적으로 사탕이나 젤리 같은 것이 있죠.
이렇게 고운 색깔은 식용 색소를 첨가해서 만드는데요.
제품 뒷면을 보면‘적색제 40호’이런 식으로 쓰여 있는데, 이 색소들 대표적인 식용 타르 색소입니다.
석탄타르를 원료로 한 타르색소는 흔히 섬유에 쓰이는데요.
반면 식용 타르색소는 독성이 적은 산성 타르 색소입니다.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타르라고 하니 걱정될 수 있는데요.
정말 먹어도 되는 걸까요?
사람이 평생 섭취해도 유해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1인당 1일 최대 섭취량, ADI를 지키면 괜찮습니다.
식약처에서 지난 2019년 식용 타르 색소의 사용 실태를 조사했는데, 유통 중인 1천454개 제품 모두 일일 섭취 허용량, ADI 보다 낮아 적합 판정을 받았습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총 9개의 식용 타르색소 중 가장 높은 노출량을 보였던 적색제3호가 ADI 대비 0.52%로 매우 안전한 수준이었습니다.
이에 더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용색소의 최대 사용량을 설정한 혼합 사용 기준을 도입합니다.
혼합된 식용 색소의 합이 안전 기준을 초과할 수 없게 하는 건데요.
보다 안전한 식품첨가물 안전 관리를 위해서 오는 2022년 1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
지금까지 다양한 궁금증에 대한 정확한 팩트, 전해드렸습니다.
*수소충전소 설치 인허가권, 지자체 권한 없어진다?
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다음 주제 자세히 들여다 보겠습니다.
에너지 전환, 정부가 추진하는 역점 과제 중 하나죠.
수소경제 로의 전환이 이에 속하는데요.
그러려면 수소 충전소를 확충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최근에 정부에서는 수소충전소 설치 확대를 추진 하고 있는데요.
최근 인천시와 경기도 양주 등 전국 16곳에 수소충전소 설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각 에서는 이번 추진과 관련해서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환경부 수소모빌리티혁신추진단 염정섭 과장과 사실 여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과장님, 안녕하세요.
(출연: 염정섭 / 환경부 수소모빌리티혁신추진단 과장)
최대환 앵커>
우선, 일부 언론에서는 충전소 설치 예정 지역의 주민들이 충전소가 들어서는 것을 반대하고 있어 향후 심각한 사회적 갈등을 예고하고 있다며 주장하고 있습니다.
사실 여부 확인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그런가하면 이런 지적도 있습니다.
오는 7월 14일부터 대기 환경보전법이 시행 될 예정이죠.
이 법안에 따르면 수소 충전소 설치 계획을 환경부 장관이 승인하면, 지자체에서 인허가를 받은 것으로 간주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런 법 개정으로 환경부에서 지자체에 인허가권을 넘겨받아 본격적인 사업에 나선다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이 보도 내용대로라면 수소충전소 인허가와 관련해서 지자체 권한이 없어지는 건가요?
최대환 앵커>
환경부에서 인허가권을 가져가는 것이 아니라 지자체와 협의를 거쳐 최종 결정을 하는 거라는 말씀이군요.
그런데, 이런 주장도 있습니다.
환경부에서는 법 통과 이전에 우선사업대상자를 선정해 놓고 법 통과와 동시에 인허가를 내서 속도전을 벌이겠다는 의도다, 이런 내용인데요, 어떻습니까?
최대환 앵커>
네, 지금까지 수소충전소 설치 인허가와 관련해서 환경부 수소모빌리티혁신추진단 염정섭 과장과 짚어 봤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