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美 대북정책 ‘실용적 접근’ 의미는?
등록일 : 2021.05.21
미니플레이

美 대북정책 ‘실용적 접근’ 의미는?

출연
민정훈 / 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
신경민 / 전 국회의원

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대담 이어가겠습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싱가포르 공동성명 토대 위에서 외교에 중점을 두고 실용적인 접근을 취한다'는 방향으로 대북정책 검토를 완료했습니다.
여기서 ‘실용적 접근’이란 어떤 의미일까요?

최대환 앵커>
그렇다면 미국의 대북정책이 실용적 접근법이 우리 정부가 바라고 있는 방향과 거의 부합한다고 볼 수 있을까요?

최대환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이번에 남북관계의 독자성 확보를 바이든 대통령에 요구할지도 관심입니다.
사실 트럼프 행정부 시절 한-미 워킹그룹으로 대변되는 미국 제재 시스템이 남북관계 개선에 장애물로 작용했다는 인식이 깔려있다고 봐야겠죠?

최대환 앵커>
그동안 미국의 새 대북 정책에는 북한이 응할 수 있는 구체적 유인책이 없다는 평가가 적지 않았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으로서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동력을 어떠한 형태로든 다음 정권에 이어주기 위해서라도 남북관계에 대한 독자성을 확보해야 할텐데요, 중요성 어떻게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한-미 양국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남북의 일정한 독자적 협력에 공감해도 코로나19 방역을 이유로 한 북한의 국경 봉쇄가 풀리지 않는 한 가시적 성과를 낼 실마리를 찾기가 마땅치 않다는 문제도 있습니다.
관련해 어떤 해법이 필요할까요?

최대환 앵커>
미중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 사이 균형을 유지하는 것도 우리에겐 큰 과제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이번 회담에서 쿼드 문제가 어떻게 다뤄질지 주목되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우리 정부는 쿼드와 사안별 협력이 가능하다는 입장인데요, 예컨대 어떤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을까요?

최대환 앵커>
바이든 대통령이 한미일 협력을 강조해온 만큼 한일관계 개선을 언급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습니다.
문 대통령 또한 한일관계 정상화 의지를 여러 번 밝혔는데 일각에선 6월 G7 정상회의에서 한미일 정상회의 개최를 추진하고 있단 관측도 나옵니다.
과제 어떻게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21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내일 새벽에 한미정상회담이 개최됩니다.
정상회담에 거는 기대와 과제 등 마무리 말씀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민정훈 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 신경민 전 국회의원과 함께 했습니다.
긴 시간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