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환 앵커>
앞서 보신대로 한미 양국은 서로의 강점을 살려 코로나19 백신 생산과 공급에 더욱 속도를 내기로 했는데요.
임보라 앵커>
여기에 더해 차세대 백신 개발과 변이 바이러스 대응을 위한 기술개발과 연구에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
계속해서 이리나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리나 기자>
국내에서 모더나 백신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데 이어 한미 양국은 차세대 백신 개발을 위한 연구 협력도 강화합니다.
질병관리청 산하의 국립보건연구원이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모더나와 mRNA백신 연구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겁니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와 결핵 등 우리나라에서 수요가 높은 감염병 대응을 위해 mRNA 백신 연구 프로그램 개발과 비임상, 임상 연구 등에 대해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세부적인 연구협력 주제들은 협의를 거쳐 결정될 전망입니다.
녹취> 강도태 / 보건복지부 2차관
"이번 MOU를 통해서 모더나의 뛰어난 mRNA 기술과 한국국립보건원의 우수한 연구 인프라를 활용해서 협력강화 기반을 구축하였습니다. 이를 통해서 국내에 mRNA 백신 원천기술을 조속히 확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와함께 보건복지부와 노바백스, SK바이오사이언스 간에 백신 연구개발에 대한 MOU도 체결됐습니다.
현재 노바백스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와 독감을 한번에 대처할 수 있는 결합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상황.
정부는 이번 MOU체결을 통해 민관차원의 차세대 백신 개발에 힘을 모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SK바이오사이언스 생산시설을 이용한 백신의 안정적인 공급에도 큰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특히 양국은 이번에 합의된 내용에 대한 실무적인 논의를 위해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전문가 그룹'을 신속히 구성한다는 계획입니다.
또 한미 보건 당국 간 보건의료협력 양해각서 개정 체결도 신속히 추진합니다.
새 양해각서에는 기존 공공보건과 만성질환 등 6개 분야 외에 코로나19 이후를 대비하는 백신과 의약품 개발, 디지털 헬스케어 등을 추가하는 방안이 검토될 전망입니다.
복지부는 또 국제 보건 위기 상황을 예방하고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70개 회원국이 참여하는 '글로벌보건안보구상'에 우리 정부는 올해부터 5년간 2억 달러를 신규로 기여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김명현 / 영상편집: 장현주)
KTV 이리나 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특별생방송 (805회) 클립영상
- 감염재생산지수 '1' 넘어···접종자 인센티브 마련 01:57
- 3박 5일 방미 마치고 귀국···'백신·경제·안보' 성과 03:06
- 모더나와 mRNA 연구협력···한미 백신 파트너십 구축 02:38
- 모더나 국내 위탁 생산···세계 백신 생산 허브 도약 02:30
- 'P4G' 일주일 앞으로···'녹색미래주간' 오늘 개막 02:31
- 2021 P4G 녹색미래주간 시작···내일 '그린뉴딜 특별세션' 개최 의미는? 23:21
- 2021 한미정상회담 성료···주요 성과와 과제는? 07:54
-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성과는? 12:48
- 국내 4대 기업 대미 투자 발표 관련 美 반응은? 10:54
- 美 대북문제 ‘실용적 접근’ 강조, 北 예상반응은? 1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