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은 앵커>
요즘 코로나로 배달 이용, 많이 하시죠.
그런데 사람이 아니라, 로봇이 배달하면 어떨까요?
2030년이면 물류 배송을 할 때, '로봇'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10년 단위의 국가 물류 정책의 기본방향을 담은 국가물류기본계획.
2030년까지 추진될 이번 5차 계획안은 비대면 문화 확산과 물류산업 디지털화 등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해 스마트 물류체계 구축 마련에 방점이 찍혔습니다.
2030년까지 배송 로봇과 자율 주행을 활용한 물류 배송을 일상화하고, 실시간 원격관리 시스템을 갖춰나갈 계획입니다.
또 한정된 도심 공간에 지하 공간을 활용한 물류 시스템을 구축과 무인 자율운항 선박 상용화와 스마트 항만 건설 구축 계획도 담겼습니다.
또 육상, 해상, 항공을 아우르는 통합 물류정보 플랫폼을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국가 물류 빅데이터 구축으로 물류지도를 보급할 계획입니다.
단절 없는 연결, 공유형 물류 인프라와 중대형 물류 거점도 더 늘리기로 했습니다.
녹취> 민연주 /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위원
"인프라 위주의 네트워크를 어떻게 공유형으로 만들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미래의 모습은 공유, 융합하는 경계 없는 물류 인프라를 구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첨단 물류 장비 도입과 함께 사람 중심의 물류 일자리 환경을 위한 방안도 나왔습니다.
노동 부담을 덜기 위한 저상 적재함과 하역 기술을 개발하고 업종별 표준 근로 매뉴얼과 화물운송 시장 산재보험도 확대될 전망입니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친환경 물류 시스템 구축도 주요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수소화물차와 친환경 항공, 해운을 위한 인프라를 확대하고, 녹색물류 전환사업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이와함께 국내 물류 산업계의 체질개선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도 나왔습니다.
중소 물류 기업의 성장기반을 단단히 하고, 화물 운송시장의 공정 거래질서를 확립해 나간 다는 계획입니다.
또 동북아 물류 네트워크 강화와 국제 물류 허브 경쟁력 강화, 전문물류 기업 해외 진출 지원 방안 등도 추진 계획에 담길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계획안을 바탕으로 관련 업계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해 최종안을 마련하고, 국가물류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다음달 안으로 확정해 고시할 예정입니다.
(영상편집: 김종석)
KTV 이리나 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32회) 클립영상
- 치명률 1.4%로 하락···'하루 최대' 65만 7천 명 접종 02:54
- P4G 서울 정상회의···정상급 참석 비중 확대 02:14
- 靑 소통수석 박수현·시민사회수석 방정균 02:25
- 금융위, 가상자산 관리·감독···특별단속 9월까지 연장 02:11
- 외신, 한미 정상회담 긍정 평가···"동맹 더 강력" 02:14
- 승용차 개소세 인하 6개월 연장···청년 창업 활성화 02:45
- 초고성능 컴퓨터 개발···"2030년 컴퓨팅파워 5위" 02:19
- 가덕도신공항 사전타당성 조사 본격 착수 00:21
- 통일부 "시기·형식·의제 구애없이 남북대화 대비" 00:26
- 2030년까지 로봇·자율주행 배송 일상화 02:27
- P4G 생물다양성 세션···기후위기 대응 '협력' 02:17
- 국가유공자 지자체 보훈수당, 별도 신청없이 수령 02:08
- 도시형 생활주택 침실 3개까지 허용···공유주거 활성화 01:51
- 7월부터 특수고용직 12개 고용보험 적용 00:28
- '강원 한중문화타운 철회' 청원에 "면밀히 살필 것" 00:31
- 국내 코로나19 항체 보유율 0.27% 00:23
- 코로나 회복순위 한국 5위···"국민, 방역지침 잘 따라" 02:39
- '농업의 미래'···모내기 대신 드론 파종 [우리동네 개선문] 04:15
- 냄새나는 암모니아가 친환경 연료라고? [S&News] 04:59
- 백신복권 [뉴스링크] 02:13
- 거리 위 무법자 킥라니 주의보 [클릭K] 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