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폐플라스틱, 식품용기로 재활용···제품 안전성은? [사실은 이렇습니다]
등록일 : 2021.05.31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다음 주제 자세히 들여다보겠습니다.
코로나 사태로 인해 집콕 소비가 늘어나면서 일회용품 사용이 급증하고 이로 인해 버려지는 쓰레기는 사회문제까지 이어지고 있는데요.
그래서 최근에는 투명폐트병 분리배출 등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죠.
얼마 전, 정부에서는 폐플라스틱을 식품용기로 재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밝혔습니다.
음식물이 닿는 그릇을 버려지는 플라스틱을 활용해 만든다면 과연 안전할까.. 이런 생각 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첨가물기준과 오금순 과장과 자세한 내용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과장님, 안녕하세요.

(출연: 오금순 / 식품의약품안전처 첨가물기준과장)

최대환 앵커>
우선, 이번 방안 추진을 위해 식약처와 환경부가 손을 잡고 시행규칙 개정을 추진한다고 하는데요.
어떤 내용 인겁니까?

최대환 앵커>
그렇다면 식품용기로 재활용 되는 재생원료는 버려지는 모든 폐플라스틱을 활용하는 건가요?
수거 된 폐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재생원료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주로 식약처에서 담당하게 될텐데, 어떤 과정을 통해 안전성 평가가 이루어질까요?

최대환 앵커>
그러니깐 원재료부터 최종제품까지, 안정성 검증을 위해 식약처와 환경부가 각자 역할을 맡아 철저하게 검사과정을 진행한다는 말씀이군요.
폐플라스틱 식품용기 재활용 확대 추진과 관련해서 기대 효과가 있다면요?

최대환 앵커>
네, 지금까지 폐플라스틱의 식품용기 재활용과 관련해서 식약처 첨가물기준과 오금순 과장과 짚어 봤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