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반도체·배터리·바이오 대미 투자 확대, 글로벌 지위 강화 전략 [경제&이슈]
등록일 : 2021.06.03
미니플레이

김유영 앵커>
오늘 첫 번째 순서 ‘경제&이슈’ 시간입니다.
지난 5월 한미 정상회의에서 국내 4대 기업이 총 44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하면서 한미 양국 관계의 포괄적 발전을 기대할 수 있게 됐는데요.
주력산업인 반도체, 배터리 그리고 바이오에 이르기까지 미국과의 협력과 투자를 통해 한국이 글로벌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을지 김대호 글로벌경제연구소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김대호 / 글로벌경제연구소장)

김유영 앵커>
코로나19 백신의 효과로 확산세가 진정되는 국가들이 있는 반면, 재확산으로 인해 비상에 걸린 국가들도 많은데요.
세계 코로나19 관련 소식부터 전해주시죠.

김유영 앵커>
국내에서는 예방접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11월 집단면역 목표에 한 발 더 다가서고 있는데요.
국내 코로나19 현황과 백신접종 상황 짚어주시죠.

김유영 앵커>
지난 6월 2일, 문대통령이 4대그룹 총수들과 오찬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44조 원 규모의 대미투자를 통해 한미회담을 측면 지원한 대기업들을 격려하는 취지로 보이는데요.
어떤 이야기들이 오고갔나요?

김유영 앵커>
지난 5월 있었던 한미 정상회담이 기대 이상의 성공을 거둔 것으로 평가되는데요.
우선 대미 투자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부터 짚어보겠습니다.
반도체 투자로 얻을 수 있는 효과, 어떻게 보시나요?

김유영 앵커>
국내 기업들이 배터리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 대미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한국 3사의 투자 확대 추세에 따라 향후 시장 판도가 크게 바뀔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는데요.
앞으로의 전망, 어떻습니까?

김유영 앵커>
또, 한미 양국은 미국의 뛰어난 백신 개발 기술과 원부자재 공급 능력, 그리고 한국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 역량 등 서로의 강점을 결합해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과학, 기술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죠?

김유영 앵커>
앞서 말씀해주신 3대 분야 외에 지난 5월 30일, 31일 있었던 P4G 서울 정상회의 등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과 관련된 논의도 이뤄졌는데요.
어떤 이야기들이 있었나요?

김유영 앵커>
지금까지 김대호 글로벌경제연구소장과 함께했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