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다음 주제 자세히 들여다보겠습니다.
농산물 도매시장에 가면 경매를 통해 농산물 거래가 이루어지죠.
서울의 가락동 도매시장도 마찬가지인데요.
그런데 최근에 일각에서는 이러한 경매 제도를 두고 우려의 목소리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유통정책과 주원철 과장과 자세한 내용 짚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과장님, 안녕하세요.
(출연: 주원철 / 농림축산식품부 유통정책과장)
최대환 앵커>
우선, 서울 가락시장의 경우 지난 2012년부터 시장도매인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지만, 농식품부에서 유통인 사이의 합의를 이유로 2015년 이를 불승인했다, 이렇게 주장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그러니깐 농식품부에서도 시장도매인제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조금 더 신중하게 생각해서 여러 다른 방안을 생각해보고 결정해야 하는 일이다 라는 입장이군요.
일각에서는 이런 의견도 있습니다.
경매가격과 관련해서인데요, 품질과 무관하게 갑작스레 가격 급등락이 일어난다며 같은 날 내놓은 농산물도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이런 주장인데 어떻게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그리고 경매 시간에 대한 의견도 있습니다.
경매 응찰시간이 보통 3초 이하인 거래가 60%가까이라며 경매 과정이 불투명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네, 마지막으로 도매시장 유통거래와 관련한 계획, 한 번 짚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환 앵커>
네, 지금까지 농산물 도매시장 거래제도와 관련해서 농식품부 유통정책과 주원철 과장과 짚어 봤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866회) 클립영상
- 접종자 1천500만명 돌파···모더나 접종 '속도' 01:32
- 수도권, 사적모임 2주간 6명···이후 8명까지 가능 02:20
- 유흥시설·노래연습장·식당·카페 24시까지 영업 02:19
- 2학기부터 신규확진 1천명 미만 '전면 등교' 02:07
- 델타 변이 확산하는 영국, 백신 소용없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05:06
- 농산물 도매시장 거래···품질 상관없는 경매 가격? [사실은 이렇습니다] 05:43
- 오늘 한미일 북핵 수석대표 협의···대북 메시지 주목 15:35
- 전세계 델타변이 '심각'···중국도 덮쳤다 [월드 투데이] 04:11
- 재난 극복·일자리 충격 완화···문재인 정부 4년 포용복지는? 13:55
- 지자체 반부패 협력 강화 업무 협약 결과·계획 브리핑 18:58
- 잘못 보낸 돈 OO가 받아준다!!! [S&News] 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