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민 앵커>
이호승 청와대 정책실장은 우리나라의 글로벌 백신허브 구상이 최근 문재인 대통령의 유럽순방을 통해 유럽까지 영역을 확장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백신 생산기술을 토대로 외교, 안보면에서 대외적 영향력이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는데요.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이호승 청와대 정책실장이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최근 유럽순방을 통해 글로벌 백신 허브 구상이 유럽까지 한 단계 확장했다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이 순방기간 아스트라제네카와 백신 개발기업인 독일의 큐어백 기업 최고경영자들을 잇따라 면담한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실장은 코로나19 장기화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글로벌 백신허브 전략은 대한민국이 독자적인 코로나 방역능력을 키운다는 의미로, 경제적인 이익은 물론, 외교나 안보면에서도 대외적인 레버리지가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G7정상회의와 유럽순방을 거치면서 대한민국의 위상이 사실상 8번째 선진국에 해당될 만큼 높아졌음을 느꼈다고 소회를 밝혔습니다.
주요 선진국들이 코로나19 백신을 비롯해 디지털 전환, 기후변화, 민주주의 등 전 세계 현안에 대해 함께 해결하자고 적극적으로 요청해오는 분위기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일례로 오스트리아 총리는 대한민국을 가리켜 코로나 극복과정에서 방역과 경제의 월드 챔피언이라고 칭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순방에서 한일 정상회담이 성사되지 못한 데 대해선, 아쉬운 부분이라며 우리나라는 일본과의 대화에 열린자세로 임해오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도쿄올림픽을 계기로 대통령의 방일이 추진될지 여부는 아직 정해진 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영상편집: 오희현)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에 대해선 코로나 상황이 안정된 이후 여건이 갖춰지는 대로 추진하자는 공감대 속에서 중국과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TV 박지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879회) 클립영상
- 대한민국 동행세일 개최, 내수 촉진 방안 [경제&이슈] 26:13
- 코스피, 외국인 매수에 상승 마감 [증권시장] 02:49
- 위중증환자 감소···화이자 65만회분 내일 도착 02:26
- 델타형 변이 증가···"백신으로 최대 88% 예방" 02:33
- "달라진 위상···하위권분야 특별대책 세워야" 02:27
- 25일 한-중미 정상회의···'경제회복' 논의 02:14
- 靑 "글로벌 백신허브 구상 유럽까지 확장" 02:04
- 승용차 개소세 30% 인하 연말까지 연장 02:04
- 내년부터 임신·출산 지원금 100만 원으로 인상 02:01
- 무등록업자에 하도급 삼진 아웃 ···포항지진 지원 확대 02:30
- 이란 대통령 당선인 "바이든 만날 생각 없어" [월드 투데이] 0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