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이해충돌방지법 시행 전 꼭 알아둬야할 내용은?
등록일 : 2021.06.23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공직자의 사익추구행위를 차단할 수 있는 이해충돌방지법, 지난 4월 29일 밤 국회 본회의에서 바로 이 법안을 통과시켰죠.
언론들도 대서특필했던 소식이어서 많은 분들이 기억하고 계실 겁니다.
이 법안이 어떤 지난한 과정을 거쳐 입법되었는지, 무려 8년 만의 통과라는 소식을 접하면서 궁금증도 많이 가지셨을텐데요, 이처럼 권익위원회가 이해충돌 방지라는 이름의 법안을 입법 예고한 것이 바로 2012년입니다.
그러나 이 법안은 보시는 것처럼 개념이 모호하다는 등의 이유로 국회 발의와 폐기를 거듭했습니다.
그러다가 지난해, 이번 21대 국회에 제출됐던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안, LH 사태 등을 계기로 국회에서도 그 심각성과 필요성을 고려하기 시작했는데요.
그 결과 올해 4월 29일, 이해충돌방지법 통과라는 역사적인 순간이 탄생한 겁니다.
이제 이해충돌방지법은 1년 간의 준비기간을 거쳐 내년 5월 시행됩니다.
이 준비기간 동안, 법률에 대한 시행령 제정과 대상자에 대한 교육이 꼭 필요한데요, 관련 내용 오늘 대담으로 짚어보겠습니다.
전현희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과 함께합니다.

(출연: 전현희 /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최대환 앵커>
올해, 드디어 이해충돌방지법이 통과됐습니다.
적용에 앞서 아무래도 공직자들은 뭘 주의해하고, 또 국민들은 무엇을 주목해야 하는지 충분히 공부할 시간이 필요한 법이기도 한데요.
오늘 하나하나 짚어보려고 합니다.
일단 적용 대상, 최종적으로 본인이 어떤 신분일 때, 이해충돌방지법에 유의해야 하는 건가요?

최대환 앵커>
직무관련자, 사적이해 관계자에 대한 개념도 다시 한 번 짚어봐야할 것 같은데요.
공직자와 어떤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주의를 해야하는 건가요?

최대환 앵커>
그렇다면 공직자가 직무수행을 할 때 직무관련자가 사적이해 관계자인 경우가 발생하면, 어떻게 조치를 하면 되는 걸까요?

최대환 앵커>
조금 더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주시면 이해가 쉬울 것 같은데요.

최대환 앵커>
또 중요한 것이 공직자의 투기 근절을 위한 조항입니다.
이제 부동산 관련 사업을 진행하는 공직자의 경우 부동산 보유와 매수 신고 의무도 생기지 않습니까?

최대환 앵커>
또 중요한 내용이 있습니다.
공직자와 퇴직자가 접촉을 할 때, 신고를 하도록 되고, 고위공직자의 외부 업무활동도 내역이 구체적으로 제출되어야 한다는 건데요.
관련해서도 구체적인 내용 짚어주시겠습니까?

최대환 앵커>
이 외에도 가족 채용 제한 등 꼭 유념해야될 부분들이 많습니다.
주의해야 할 내용 몇가지 더 짚어주신다면요?

최대환 앵커>
2013년 제출 후 8년 만에 통과된 이해충돌방지법, 정말 다난한 과정을 거쳐서 제정이 됐고 또 이제 시행만을 앞두고 있는데요.
관련해서 이제 국민들이 어떤 점을 중점적으로 봐주시면 좋을지, 마무리 말씀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과 함께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