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코로나 위기 속 지속가능한 복지체제 만든다···사회적경제 법안 통과 필요성은?
등록일 : 2021.07.20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지난주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청와대가 국회에서 당정청 협의회를 열어 사회적경제 입법 준비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사회적경제와 관련한 입법 현황과 법안 통과 필요성을 살펴봅니다.
서울 스튜디오에 나와있는 하승창 전 청와대 사회혁신수석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하승창 / 전 청와대 사회혁신수석)

최대환 앵커>
코로나19 위기 국면에서 사회적경제의 중요성이 한층 커졌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그 이유는 뭘까요?

최대환 앵커>
당정청도 지난 14일 국회에서 협의회를 열고 사회적경제 입법 준비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이같은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법적 근거가 아직까지도 마련되지 못하는 이유는 뭘까요?

최대환 앵커>
지금 국회에 제출되어 있는 사회적경제 관련 법안 45개 중 11개가 통과되고, 정말 중요한 뼈대에 해당하는 중요 법안인 사회적경제 기본법은 통과되지 않고 남아있는데요, 법안 개요부터 짚어주시죠.

최대환 앵커>
이 법안은 지금도 6건이 발의되어 있지만, 아직 기획재정위원회 산하 경제재정소위에 발이 묶여 통과되지 못하고 있는데요, 그 이유는 무엇이고 어떻게 봐야 할까요?

최대환 앵커>
한편 기존에 발의된 기본법 내용에 대한 재검토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어떤 부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까요?

최대환 앵커>
지난 3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21년 사회적경제 정책방향'이 발표됐습니다.
사회적경제 활성화에 변함없는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의지를 밝힌건데요, 정책 추진 상황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최대환 앵커>
지난 3월에 발표된 사회적 경제정책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여전히 각 부처 사업을 통합 관리하고 평가하는 체계가 없고, 정책 형성 및 집행 과정에서 민간 참여를 유도하는 거버넌스도 부재하단 지적이 있었습니다.
관련 과제 어떻게 보시나요?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하승창 전 청와대 사회혁신수석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