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천영 앵커>
홍범도 장군에 대한 추모 열기가 뜨겁습니다.
국민분향소가 마련된 대전현충원에는, 참배객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고, 온라인에서도 추모글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김현아 기자입니다.
김현아 기자>
"오늘이 있게 해주신 홍범도 장군님 잊지 않겠습니다."
"장군님의 귀환은 우리에게 큰 기쁨이고 조국을 사랑하는 모든 이들의 영웅입니다."
순국 78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온 홍범도 장군.
홍장군의 넋을 기리는 추모 열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가보훈처 누리집에 마련된 온라인 추모공간에는 6천 건이 훌쩍 넘는 추모글이 올라왔습니다.
국민추모기간인 16일과 17일 이틀간 대전현충원 국민분향소에는 승차참배를 포함해 모두 2,845명의 참배객이 다녀갔습니다.
녹취> 최재구 / 추모객
"홍범도 장군 같은 유명한 인사를 일찍 조국에 모시지 못해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대단히 죄송스럽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다행히 이번 정부의 과감한 정책으로 장군을 잘 모시게 돼서 매우 기쁩니다."
1868년 평양에서 태어난 홍범도 장군.
1907년 함경도와 평안도 일대의 포수들을 모아 의병을 조직했습니다.
3.1운동이 일어난 1919년 9월 간도로 이동해 대한독립군을 편성하고 본격적인 항일무장투쟁에 나섭니다.
홍장군은 1920년 봉오동 골짜기에서 일본 월강추격대와 벌인 전투에서 대승을 거뒀습니다.
같은 해 10월에는 보복전에 나선 일본군 대부대를 김좌진 장군의 북로군정서와 합세해 무찌르며 청산리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습니다.
이후 연해주 지역에 머물던 홍장군은 1937년 스탈린의 고려인 강제이주정책으로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에 정착했고 1943년 75세를 일기로 서거했습니다.
(영상취재: 우효성 / 영상편집: 진현기)
봉오동전투, 청산리대첩의 영웅 홍범도 장군.
고국을 떠난 지 101년, 순국 78년 만에 조국 땅에 영면했습니다.
KTV 김현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뉴스중심 (747회) 클립영상
- 1천800명대···모레 거리두기 조정안 발표 03:35
- 홍범도장군 유해 안장···"위기극복 희망 될 것" 02:26
- 국가원수급 예우···독립유공자 제3묘역 안장 02:06
- 홍범도장군 '추모 열기'···온·오프라인서 이어져 02:19
- 김대중 전 대통령 12주기 온라인 추도식 00:20
- 희망회복자금 첫날 52만 명에 1조 3천억 지급 00:25
- "배달앱도 소비자피해 책임"···불공정약관 시정 02:42
- 300인 이상 사업장 늘어···소속근로자 비중도 증가 02:24
- 국제항해 선원 23일부터 백신 우선 접종 00:29
- 경찰, 19∼20일 '방역수칙 위반' 유흥시설 단속 00:30
- 경비원 월 4회 이상 휴무···적정 휴게시설 보장 02:21
- 수사정보 의도적 유출 시 진상조사 02:49
- 기후위기 속도 빨라진다···대책은? [S&News] 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