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교환` 적극 나서야
등록일 : 2007.08.03
미니플레이
피랍자와 죄수의 맞교환 요구하는 상황이어서 아프간 정부의 태도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게 사실입니다.
무고한 인명을 살리는 것이 최우선이라는 대승적 차원에서 아프간 정부도 맞교환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최고다 기자>
탈레반은 석방여부를 철저하게 자신들의 요구를 상대방이 수용하느냐 마느냐에 따라 결정했습니다.
지난 3월과 4월 풀려난 이탈리아 기자와 프랑스 구호 단체 요원 두명은 인질 맞교환과 철군이라는 요구를 상대국에서 받아들였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3월과 4월에 납치된 알바니아인 4명과 인도인 기술자는 상대국이 협상에 적극적으로 임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처형했습니다.
결국 무고한 인질들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서는 현재 납치단체가 요구하는 인질-죄수 맞교환을 들어주는 길 외에는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입장입니다.
피랍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맞교환에 대한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아프간 정부가 결단을 내려야 한다는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우선 자국의 전후 재건 사업에 그 어떤 국가보다 적극적인 우방국가인 한국 국민이 억류된 상황에서 맞교환 불가 원칙만을 고수한다는 것은 아프간 정부로써도 외교적인 부담을 떠안을 수 밖에 없다는 겁니다.
지난 2002년부터 아프간에 파병된 우리군대는 공병과 의료부대 대원 등 총 210명.
동의부대 60명의 의료요원과 다산공병부대 150명의 공병은 전쟁으로 폐허가 된 국가 재건을 지원해왔고, 이는 아프간 재건 사업에 투입된 단일 국가인원으론 최대 규모입니다.
특히 2002년에 파견된 동의부대는 피를 나누지는 않았지만 인도적 차원에서 머나먼 타국땅에서 지역 주민들에게 인도적지원과 의료 지원을 병행해 오고 있습니다.
2003년 파병된 다산부대는 지역 재건 작업을 지원함은 물론, 전쟁으로 파괴된 국가 재건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아프간 현지인에게 기술을 가르치기도 했습니다.
이런 활동 모두가 인명을 소중히 하는 생명존중 정신에 기초한 것입니다.
외교적 관례를 보더라도 자국 국민의 생명과 국가 재건을 위해 노력해온 우방 국가의 국민이 스무명 넘게 억류된 상황에 대해 원칙만을 고수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한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아프간 정부가 이번 사태로 얻을 수 있는 실리를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밝혔습니다.
아직까진 전후재건사업이 더 필요한 아프간 정부를 국제사회는 이번 사태의 해결과정을 기준삼아 추가지원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는 겁니다.
생명존중의 차원에서 이국땅에서 땀흘리고 있는 우리 파병부대원들. 파키스탄 정부 역시 이번 사태를 생명존중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무고한 인명을 살리는 것이 최우선이라는 대승적 차원에서 아프간 정부도 맞교환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최고다 기자>
탈레반은 석방여부를 철저하게 자신들의 요구를 상대방이 수용하느냐 마느냐에 따라 결정했습니다.
지난 3월과 4월 풀려난 이탈리아 기자와 프랑스 구호 단체 요원 두명은 인질 맞교환과 철군이라는 요구를 상대국에서 받아들였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3월과 4월에 납치된 알바니아인 4명과 인도인 기술자는 상대국이 협상에 적극적으로 임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처형했습니다.
결국 무고한 인질들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서는 현재 납치단체가 요구하는 인질-죄수 맞교환을 들어주는 길 외에는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입장입니다.
피랍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맞교환에 대한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아프간 정부가 결단을 내려야 한다는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우선 자국의 전후 재건 사업에 그 어떤 국가보다 적극적인 우방국가인 한국 국민이 억류된 상황에서 맞교환 불가 원칙만을 고수한다는 것은 아프간 정부로써도 외교적인 부담을 떠안을 수 밖에 없다는 겁니다.
지난 2002년부터 아프간에 파병된 우리군대는 공병과 의료부대 대원 등 총 210명.
동의부대 60명의 의료요원과 다산공병부대 150명의 공병은 전쟁으로 폐허가 된 국가 재건을 지원해왔고, 이는 아프간 재건 사업에 투입된 단일 국가인원으론 최대 규모입니다.
특히 2002년에 파견된 동의부대는 피를 나누지는 않았지만 인도적 차원에서 머나먼 타국땅에서 지역 주민들에게 인도적지원과 의료 지원을 병행해 오고 있습니다.
2003년 파병된 다산부대는 지역 재건 작업을 지원함은 물론, 전쟁으로 파괴된 국가 재건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아프간 현지인에게 기술을 가르치기도 했습니다.
이런 활동 모두가 인명을 소중히 하는 생명존중 정신에 기초한 것입니다.
외교적 관례를 보더라도 자국 국민의 생명과 국가 재건을 위해 노력해온 우방 국가의 국민이 스무명 넘게 억류된 상황에 대해 원칙만을 고수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한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아프간 정부가 이번 사태로 얻을 수 있는 실리를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밝혔습니다.
아직까진 전후재건사업이 더 필요한 아프간 정부를 국제사회는 이번 사태의 해결과정을 기준삼아 추가지원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는 겁니다.
생명존중의 차원에서 이국땅에서 땀흘리고 있는 우리 파병부대원들. 파키스탄 정부 역시 이번 사태를 생명존중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