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민 앵커>
우리나라는 다소 늦게 우주발사체 개발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길지 않은 시간 두드러지는 성과를 나타냈고,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된 누리호의 발사까지 앞두고 있는데요.
과학로켓 개발부터 나로호 발사 성공 과정까지 박천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박천영 기자>
우리나라에서 우주발사체 개발은 지난 2002년 시작됐습니다.
2009년과 2010년 연이은 발사 실패에 이어 2013년 1월, 세 번의 도전 끝에 발사에 성공한 나로호.
나로호는 한국과 러시아의 공동개발로 100kg급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진입시켰습니다.
이를 통해 발사체 독자개발을 위한 기술과 경험을 확보할 수 있었단 평가입니다.
우리의 과학로켓 개발은 이보다 앞선 90년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993년 관측 로켓의 국산화 개발과 한반도 오존층 탐사를 위한 1단형 고체추진 과학로켓의 개발이 완료됩니다.
1998년 과학 관측을 위한 2단형 고체추진 로켓이 분리에 성공하고, 2003년에는 국내 최초 액체추진로켓이 독자개발을 마치고, 소형위성 발사체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을 확보합니다.
이는 누리호의 개발을 견인한 나로호의 성공을 이끌었습니다.
현재 발사를 앞두고 있는 누리호 길이는 47.2m, 나로호보다 14.2m 길고, 중량은 60t 무거운 200t에 달합니다.
지구 저궤도에 100kg급 인공위성을 진입시켰던 나로호였는데요.
누리호는 1.5톤급, 1천500kg급 실용위성을 투입 시킬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러 공동개발에서, 순수 우리나라 독자기술로 개발했단 점이 괄목할만한 성과입니다.
누리호가 발사될 나로우주센터는 전남 고흥의 외나로도섬에 위치해 있습니다.
후보지 선정 당시 11개 지역을 대상으로 여러 조건을 비교했고, 최종적으로 부지가 정해졌습니다.
2009년 준공이 마무리되며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13번째 우주센터보유국이 됐습니다.
나로우주센터에는 나로호 발사 후 누리호의 개발과 발사를 위한 시험 설비를 증축되고, 제2발사대도 세워집니다.
제2발사대는 지하 3층, 지상 1층 규모로 일부 장치의 초기 형상설계를 제외한 모든 과정을 국내 기술로 개발했습니다.
(영상취재: 홍성주 한기원 / 영상편집: 진현기)
발사를 위한 모든 준비를 마친 누리호는 우리나라 최초 우주발사체 발사기지, 나로우주센터에서 내일 첫 번째 비행에 나섭니다.
KTV 박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959회) 클립영상
- '누리호 발사 D-1', 우주강국 도약 전망 [경제&이슈] 24:25
- 중량·궤도 향상···국내 과학기술 총망라 02:20
- '누리호' 발사 D-1···발사대 '기립 완료' 04:02
- 과학로켓부터 누리호까지···우주발사체 개발 발자취 02:47
- "우리 기술로 우주로"···중대형 로켓엔진 7번째 개발 01:59
- 속도내는 '일상회복' 전략···이달 중 공개 03:17
- '서울 ADEX 2021'···"강한 국방력 목표는 평화" 02:06
- 문 대통령, 26~27일 아세안 화상정상회의 참석 00:28
- 공공부문 성희롱 사건 여가부 통보 의무화 02:32
- 北 "신형SLBM 발사"···한미일 "조속한 대화 필요" 02:23
- 백악관 "북 미사일 규탄···조건없이 만나자는 약속은 유효" [월드 투데이] 0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