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다음 주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정부에서는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를 40%로 상향 조정하면서 탄소중립을 위한 적극적인 행보를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원자력이나 석탄 발전의 비중을 줄이고 대신 그 빈자리에 신재생에너지나 수소 암모니아 발전 등으로 채우게 되는데요.
그런데, 일각에서는 암모니아 발전 같은 경우, 아직 기술 개발이 안 된 것으로 탄소중립을 위한 수단 중 하나로 쓰이기에는 무리가 있다..이렇게 지적하고 있는데요.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산업정책과의 강감찬 과장과 자세한 내용 짚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과장님, 안녕하세요.
(출연: 강감찬 /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산업정책과장)
최대환 앵커>
우선, 암모니아 발전은 수소나 다른 여타 청정에너지 보다는 생소한데요.
탄소중립을 위한 수단으로써 어떤 역할을 하는 에너지인가요?
최대환 앵커>
그런데,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일각에서 이러한 암모니아 발전을 두고 개발도 안 된 기술로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포함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는 주장인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그렇다면, 향후 우리나라에서는 암모니아 발전을 준비하기 위한 계획, 어떻게 세우고 계십니까?
최대환 앵커>
네, 암모니아 발전 기술 개발 문제와 관련해서 산업통상자원부 강감찬 과장과 자세한 내용 짚어봤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958회) 클립영상
- 수도권 병상확보 행정명령···"확진 7천명도 감당" 02:16
- 문 대통령, 유럽 3개국 순방 마치고 '귀국길' 02:38
- 동유럽 정상과 양자회담···'세일즈 외교' 02:15
- 문 대통령, SNS에 글···"신유라시아 루트 열어" 00:37
- 김정숙 여사, 헝가리 한국문화원 방문 00:19
- 청년 월세지원 사업, 고소득 부모 둔 자녀도 받는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04:08
- 탄소중립 수단 '암모니아 발전'···아직 개발 안 된 기술? [사실은 이렇습니다] 03:47
- 코로나19 확산세 속 10대 확진자 급증···단계적 일상회복 시행 추이는? 11:55
- 두 번째 코로나 수능 2022 대학수학능력시험 [클릭K] 04:21
- 독일 신규 확진 3만 4천명···WHO "유럽, 대유행 진원지 됐다" [월드 투데이] 04:40
- G20 정상회의·COP26 등···다자외교 성과는? 14:36
-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 (21. 11. 05. 11시) 2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