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천영 앵커>
앵커 3분기 월평균 가계 소득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가 작성된 이후 역대 최대 상승률로, 경기 회복과 고용 시장 개선, 2차 추경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김용민 기자입니다.
김용민 기자>
전국 1인 이상 가구의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8% 늘어났습니다.
통계청의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월평균 소득은 472만 9천 원으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이전소득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77만 3천원으로 전년 같은기간보다 7.2% 늘어났습니다.
녹취> 정동명 / 통계청 사회통계국장
"3분기 고용상황 호조 및 서비스업 업황 개선 등에 따라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동시에 증가하였으며, 9월의 국민지원금 지급, 추석 명절 효과 등으로 공적 및 사적이전소득도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총소득이 증가하였습니다."
소득 동향을 살펴보면, 근로소득은 295만4천 원으로 6.2%, 사업소득은 88만5천 원으로 3.7% 증가했습니다.
이전 소득 역시 80만4천 원으로 전년 같은기간 대비 25.3% 늘었습니다.
기재부는 경기회복과 고용시장 개선 등의 영향으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늘었고, 2차 추경 등으로 공적이전소득이 큰 폭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이에 따른 전체가구의 총소득 상승률 8%는 지난 2006년 1인가구를 포함한 통계조사 이후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총소득은 근로, 사업 소득같은 시장소득과 공적이전소득을 합한 금액입니다.
가구당 월평균 지출은 254만 4천원으로 4.9% 증가했습니다.
식료품과 비주류음료 지출이 43만 원으로 5.7% 늘었고, 의류신발 지출이 10만6천 원으로 10% 증가했습니다.
국민 소득의 분배상태를 나타내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34배로 지난해 3분기 5.92배보다 0.58배p 하락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상취재: 안은욱 / 영상편집: 채소현)
정부는 소상공인 손실보상 등 코로나19 피해계층 지원 방안 등을 빠르게 집행하고, 내수활력 제고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TV 김용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뉴스중심 (807회) 클립영상
- "중환자 병상 통합관리"···고령층 추가접종 속도 02:39
- 감염병전담병원 추가 지정···병상 효율화 02:34
- 22일부터 학교 '전면등교'···특별점검단 운영 02:32
- 외교부, 경제안보TF 격상···"이슈대응 강화" 00:41
- 문 대통령 "모든 폭력으로부터 아동 보호" 00:34
- 21일 '국민과의 대화'···방역·민생경제 소통 01:37
- "98% 국민, 종부세와 무관···과장 우려 있어" 02:21
- 2030세계박람회 유치 경쟁 돌입···"역량 결집" 02:25
- 10월 생산자물가 전달보다 0.8% 상승 00:23
- 보잉737 맥스 운항금지 해제···22일부터 국내 영공 통과 00:42
- '독도대첩' 의용수비대 추모식 대전현충원서 개최 00:24
- 상조업체, 해약환급금 지급 때 고객차별 금지 00:32
- 오늘 오후 부분 월식···오후 6시 2분 98% 월식 00:30
- 3분기 가계소득 8% 증가···소득격차도 줄어 02:29
- 우주 개발 앞서 '우주 쓰레기' 주목해야 [터치 핫이슈] 02:13
- 해저파이프 없이 바다에서 끝 [S&News] 0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