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보라 앵커>
한국은행이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소비 회복세가 확대되고 국제 공급 병목 현상이 장기화하면서 물가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3.7%로 두 달 연속 3%대를 기록했습니다.
1월부터 11월까지 올해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 오르면서 물가 안정목표인 2%를 웃돌았습니다.
한국은행은 내년에도 경기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상당 기간 2%대를 나타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녹취> 이주열 / 한국은행 총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해보다는 다소 낮아지겠지만 상당 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하면서 금년에 이어 내년에도 2%대를 나타낼 것으로 보이고, 근원물가 상승률은 2%에 근접한 수준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구체적으로 국제 원자재 가격은 수급여건이 개선되면서 다소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지만, 소비 회복세 확대와 국제 공급망 병목현상이 상당 부분 지속하면서 물가 상승 압력이 우세하다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국제적인 공급 병목 현상 장기화로 자동차 등 내구재 가격 상승 폭이 올해보다 확대될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녹취> 이주열 / 한국은행 총재
"공급 측면에서 비롯된 일시적 요인들이 예상보다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압력까지 더해지며 물가 오름세는 국내 각 부문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가전 등 기타 내구재 가격도 현재 주요국에 비해 낮은 오름세를 보이고 있지만 해상운임과 원자재 가격 상승분이 일부 반영되면 오름폭이 확대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다만, 농축산물 가격과 국제 유가는 공급제약이 완화되면서 안정세에 접어들 것으로 내다봤고 소비 회복세도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세가 지속할 경우 둔화될 수 있어, 물가 하방요인도 함께 존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은행은 높은 물가 상승은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떨어뜨릴 수 있고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물가안정을 목표로 시장 상황 모니터링을 이어간단 방침입니다.
(영상편집: 진현기)
KTV 박지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985회) 클립영상
- 내일부터 사적모임 4명···식당·카페 밤9시까지 03:01
- 수도권 전면등교 중단···3분의 2수준까지 등교 02:17
- 명절 기간 농축수산물 할인쿠폰 1만 원 →2만 원 00:30
- 오늘 한-우즈벡 정상회담···무역협정·공급망 논의 02:21
- 한은 "내년 소비자 물가 상승률 2%대 전망" 02:32
- 제주 서귀포 해역에서 규모 3.2 지진 00:24
- 코로나 검사 면봉에 1급 발암물질 묻어있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04:37
- ‘n번방 방지법’ 기술적 후속 조치···해외사업자는 적용 제외? [사실은 이렇습니다] 05:32
- 내일부터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강화 방안 주요 골자는? 14:38
- 전 세계 휩쓰는 오미크론···영국 신규 확진자 약 9만명 [월드 투데이] 04:28
-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국빈방한···의미와 논의 내용은? 19:38
- 공포의 우회전 언제까지?···일단 멈추세요! [S&News] 03:54
- '방역지원금' 업체당 100만 원···올해 안 지급 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