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욱 앵커>
관심을 모으는 사안을 짚어보는 터치 핫이슈 시간입니다.
“'중대재해처벌법' 본격 시행”
산업현장에서 근로자 사망사고 등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경영책임자를 처벌할 수 있는 중대재해처벌법이 본격 시행에 들어갔습니다.
주로 현장관리자에게 책임을 물었던 전과 달리 경영책임자에게 책임을 묻고 산업재해의 심각성을 인식하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법 시행의 이유, '산재공화국' 대한민국.
2020년 산재 사망자 수는 2062명.
하루 6명의 근로자가 산재로 사망하며 OECD 산재 사망률 1위라는 오명을 남겼습니다.
철거 중이던 건물이 버스를 덮친 광주광역시 학동 참사, 같은 건설사가 시공하던 아파트의 붕괴.
모두 이윤은 늘리고 안전은 외면한 불법 하도급과 부실시공 등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산업재해가 근로자의 실수 외에도 현장의 구조적 문제로 발생한다는 단적인 예들입니다.
법 시행에 맞춰 기업과 지자체 등은 안전 관리 조직을 신설하는 등 정비에 나섰고 정부도 기업 스스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현장 컨설팅 등 다각적인 지원을 펼치고 있습니다.
한편, 5인 미만 사업장은 법에서 제외되고 5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법 적용 역시 유예되면서 사각지대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는 상황.
산업현장의 안전 조치, 정부의 관리·감독 강화, 그리고 법 위반 사항 엄정 처벌을 통해 제도의 안착과 '안전 우선' 문화 확산에 힘써야 할 때입니다.
“'안전한 일터'의 초석돼야”
법 시행을 계기로 이윤에 앞서 '안전한 일터'가 최우선이라는 생각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하기를 기대합니다.
터치 핫이슈였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900회) 클립영상
- '역대 최다' 확진···"예방접종·방역수칙 준수" 02:29
- 문 대통령, 설 귀성 취소···오미크론 대응 집중 02:05
- 코로나19 사망자 오늘부터 '선 장례·후 화장' 가능 00:21
- "급박한 상황 14조 긴급 추경···국회, 조속히 심의" 02:44
- 새해 6번째 무력시위···"北 미사일 발사 매우 유감" 02:27
- 한미 북핵대표 전화협의···"깊은 우려 공유" 00:37
- "미 연준 결과, 국내 영향 크지 않을 것" 02:05
- 중대재해법 본격 시행···비상근무 체계 유지 02:24
- 문 대통령 "후진적 사망사고 근절 계기 돼야" 00:29
- 수소차 보급 세계 1위···올해 무공해차 50만 시대 02:35
- "모바일 신분증 시대"···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 시작 02:21
- 벤처투자 7조 원 '사상 최고'···ICT·바이오 강세 02:18
- "상생형 지역일자리 12곳···정부, 종합적 지원" 00:41
- "신속항원검사 학교 활용···2월까진 단축·원격수업" 00:20
- 보훈요양원 다음 달 6일까지 대면 면회 금지 00:22
- 1인가구 노리는 '주거침입' 형량 강화 추진 02:41
- 중대재해법 시행···'안전한 일터' 초석돼야 [터치 핫이슈] 02:20
- 환경 아낄수록 돈 버는 탄소포인트 [S&News] 04:07
- 오미크론 대응체계 [정책 말모이] 0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