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욱 앵커>
정부가 올해 추진할 청년정책을 확정했습니다.
일자리와 주거, 복지 등 5개 분야 376개 과제를 통해 청년이 체감하도록 지원하고, 가족을 돌보는 청년은 국가가 나서서 돕기로 했습니다.
신국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신국진 기자>
제6차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장소: 오늘 오후, 정부서울청사)
제6차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주재한 김부겸 국무총리는 올해 정부가 추진할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확정했습니다.
시행계획에는 코로나 19 위기극복과 청년세대 격차 완화, 미래 도약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담았습니다.
우선, 일자리와 주거, 교육 등 5개 분야 376개 과제를 통해 청년의 전체적인 삶을 지원합니다.
14만 명 규모의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을 신설하고, 민관협력 일자리 창출에 나설 계획입니다.
또한, 청년들의 기술 창업을 돕기 위해 혁신 창업가 발굴, 지역창업 인프라를 확대하고, 주거비 부담 해소를 위해 15만2천 명에게 월 20만 원의 월세지원 사업을 도입합니다.
교육비 부담 해소를 위해 중산층 가구까지 반값 등록금 혜택을 확대하고 청년 보증부 월세 대출 요건을 연 소득 2천만 원에서 5천만 원 이하로 완화하기로 했습니다.
사회출발 자산형성을 위해 연 소득에 맞춘 지원 대책도 수립했습니다.
연 소득 2천400만 원 이하는 청년 내일 저축계좌를 통해 저축액의 1~3배를 지원하도록 하고, 연 소득 3천600만 원 이하는 납입액의 2~4%의 저축 장려금을 지원하는 청년희망적금을 지원합니다.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청년은 소득공제 장기펀드가 신설해 납입액의 40%를 소득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녹취> 김부겸 국무총리
"청년 간 격차 해소와 청년의 미래 도약을 지원하는 큰 방향을 가지고 촘촘히 준비했습니다. 청년정책은 구호가 아닙니다. 법률과 예산이 뒷받침되는 구체적 실천계획이어야 합니다."
가족을 돌보고 있는 청년을 위한 국가 책임도 강화됩니다.
본격적인 실태조사를 위해 다음 달 중고등학생, 학교 밖 청소년, 대학생, 만 34세 이하 청년 대상으로 조사에 나섭니다.
조사를 통해 발굴된 돌봄 청년에게는 기존 제도를 연계해 즉각 지원하고, 가족 돌봄이 필요한 청년의 공적 돌봄을 제도화하기 위해 특별법도 마련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 영상편집: 진현기)
한편, 정책 결정 과정의 청년 참여 확대를 위해 청년이 참여하는 정부위원회를 기존 134개에서 190개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909회) 클립영상
- 면역저하자 오늘부터 4차 접종 시작 02:27
- 입원·격리자에게만 코로나19 생활지원비 지급 02:13
- 전국 경로당 운영 오늘부터 전면 중단 00:24
- 우크라이나 체류 국민 100여명 추가 철수 예정 02:09
- "우크라 사태 시급한 대비···범정부 공급망 관리체계" 02:14
- 내일부터 공식 선거 운동···"선거질서 훼손 엄정 대응" 02:44
- 경찰, 벽보 훼손 등 선거사범 집중 단속 00:38
- 희망플러스 특례보증, 신청 5부제 해제·은행 확대 01:42
- 가계·사업자대출 통합 심사···리스크 선제 관리 01:58
- 청년정책 376개 과제 확정···가족 돌봄 청년 지원 강화 02:33
- 고용부, 여수 여천NCC 현장사무실 압수수색 00:27
- 산림청, 산불 위기 경보 '주의'로 격상 00:23
- 한류 콘텐츠 비중 확대···'BTS·오징어 게임' 인기 00:29
- 분위기 급반전! 냉기 도는 청약 시장 [S&News] 04:36
- 당신의 소원을 들려주세요_정월대보름 [일상공감365] 01:56
- "엄정중립의 자세로 공정한 선거관리" [오늘의 브리핑] 0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