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성역할 인식 개선됐지만 가사·돌봄 여전히 여성"
등록일 : 2022.04.19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지난 5년간 우리나라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가사와 돌봄 부담은 여전히 여성의 몫이 큰 것으로 조사됐는데요.
임하경 기자입니다.

임하경 기자>
여성가족부가 지난해 양성평등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는 지난해 9∼10월 전국 4천490가구의 만 15세 이상 모든 가구원을 대상으로 이뤄졌습니다.
조사 결과, 가족의 생계는 주로 남성이 책임져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는 응답자 비율은 2016년 42.1%에서 지난해 29.9%로 낮아졌습니다.
직장생활을 하더라도 자녀에 대한 주된 책임은 여성에게 있다는 인식에 대한 동의 비율도 53. 8%에서 17.4%로 줄었습니다.
한국사회의 전통적인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 완화되는 추세를 보인 겁니다.
다만 전체 응답자의 68.9%가 가사와 돌봄을 주로 아내가 한다고 답해, 현실적으로는 여성이 돌봄 부담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김우호 / 세종시 한솔동
"(경력단절로) 결국 일을 못 하게 되는 상황이 되니까 여자들이 육아를 담당하는 느낌? 그러니까 결국 누군가는 돈을 벌어야 되고. 같이 (양육)하는 건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한 것 같아요 남자들은..“

임하경 기자 hakyung83@korea.kr
“성평등에 대한 인식은 남녀 간 차이가 뚜렷했는데요. 우리 사회가 여전히 여자에게 불평등한지를 묻는 항목에 여성의 65.4%, 남성의 41.4%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20대 여성 응답자의 70% 이상이 여성에게 불평등하다고 답한 반면, 20대 남성은 29%만이 이에 동의했습니다.

인터뷰> 김차원 / 세종 조치원읍
“제가 이공계 전공인데, 아직까진 그쪽 부분에서 여성들을 뽑는 인원이 되게 적어요. 티오가 엄청 적고 그래서 정유 쪽을 갈 수가 없어요.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좀 불평등하다...”

가장 우선 해결해야 할 성 불평등 문제로는 여성의 경력단절이 꼽혔습니다.
또한 미투 운동과 n번방 사건의 영향으로 한국사회의 각종 여성폭력이 심각하다는 인식은 5년 전보다 높아졌습니다.
(영상취재: 구자익 / 영상편집: 김종석)

KTV 임하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