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발사 준비 마친 '다누리' 공개···다음 달 미국 이송
등록일 : 2022.06.07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오는 8월 발사 예정인 대한민국 최초 달 탐사선, '다누리'의 모습이 공개됐습니다.

송나영 앵커>
준비를 마친 다누리는 다음 달 초 발사를 위해 미국으로 이송됩니다.
최유선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최유선 기자>
검은색 보호막으로 둘러싸인 커다란 물체.
무게 678kg, 가로 2.14m·세로 1.82m의 달 탐사선 '다누리'입니다.
우주의 급격한 열 변화를 견디기 위해 외부 표면 전체에 검정색의 다층 박막 단열재를 덧씌웠습니다.
다누리는 우주 환경 모사 시험 등 마무리 작업을 완료하고 발사장으로의 이송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최유선 기자 yuseon9527@korea.kr
"미국으로 떠나기 전 발사 준비를 마친 대한민국 최초 달 탐사선 다누리의 모습입니다. 여기에 실린 6개 탑재체가 달 관측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데요. 오는 8월 발사에 성공하면 대한민국은 세계 7번째 달 탐사국이 됩니다."

다누리는 우리 시간으로 다음 달 5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네버럴 미 우주군기지로 옮겨진 뒤, 8월 3일 스페이스X의 '팔콘-9' 발사체로 발사됩니다.
이후 달 궤도 도착까지 약 4개월 이상이 소요됩니다.
행성들의 중력을 이용해 길게 궤적을 그리며 비행하는 '탄도형 달 전이방식(BLT)'로 항로를 정했기 때문입니다.
비행시간이 약 80~140일로 다른 방식에 비해 오래 걸리지만, 연료 소모량을 약 25% 줄일 수 있습니다.

녹취> 김대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달탐사사업단장
"먼 거리지만 그 행성들 간의 중력이 서로 균형을 이루는 코스를 따라서 가다 보니 자연스럽게 돌아오는 코스거든요. 딱히 우리가 출력을 내거나 하지 않고."

계획에 따르면, 다누리는 올해 12월 31일 달 고도 100km 원 궤도에 진입해 1년 동안 여러 임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장착된 영구음영지역카메라·광시야편광카메라 등 6개의 임무 탑재체가 달 착륙 후보지 탐색 등을 하게 됩니다.
특히 미 항공우주국 나사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탑재한 영구음영지역카메라, 즉 '쉐도우캠'은 그동안 관측할 수 없었던 달 극지방을 촬영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폴캠'으로도 불리는 광시야편광카메라는 지구에서 보이지 않는 달 뒷면을 촬영해 달 표면 입자 등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녹취> 이상률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달 탐사는 우주를 향한 전진기지를 마련하는 뜻깊은 도전이자 인류의 미래를 준비하는 최우선의 가치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우주 탐사의 첫 장을 펼치기 위해 남은 시간 항우연의 역량을 집중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한편, 미국에서 발사 이후 달 전이 과정과 달 궤도 임무 수행은 모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임무운영센터에서 관제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유병덕 이수오 / 영상편집: 오희현)

KTV 최유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