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시간·임금체계 개편, 노동시장 개혁 방안은?
임보라 앵커>
오늘 첫번째 순서 ‘경제&이슈’ 시간입니다.
정부가 첫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공공-노동-교육-금융-서비스 등 5대 부분에 강한 구조개혁 의지를 표명했는데요.
그 첫 걸음으로 ‘노동시장 개혁 추진 방안’을 함께 내놨습니다.
김유나 앵커>
근로시간 조정과 임금체계 개편을 담은 노동시장 개혁과제를 비롯해, 사회적 대화와 소통이 필요한 부분은 무엇일지 윤석천 경제평론가와 함께 살펴봅니다.
(출연: 윤석천 / 경제평론가)
임보라 앵커>
지난 2018년부터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노동자의 건강과 삶의 질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그간 꾸준히 노동시간 단축 노력을 이어왔는데요.
그간의 추이-변화 살펴볼까요?
김유나 앵커>
야근이 줄고, 칼퇴근에, 워라벨 문화 확산까지 주 52시간제의 정착으로 점차 근무환경은 개선되는 모습이었는데요.
그럼에도 노동시장 개혁이 필요하다고 보는 이유는 뭔가요?
임보라 앵커>
정부는 주 52시간제 기본 틀은 유지하되 그 운영 방법과 이행수단을 현실에 맞게 개편해 유연 근로제를 적절히 활용한다는 방침입니다.
실제 근로시간에 어떤 변화가 올지, 휴식권 보장은 지속될 수 있을지. 어떻게 보십니까?
김유나 앵커>
윤석열 대통령이 인수위 시절부터 주장해온 임금체계 개선 계획도 밝혔습니다.
호봉제로 대표되는 우리나라 연공형 임금체계가 어떤 변화를 갖게 될까요?
임보라 앵커>
임금체계는 민간기업에서 노사 합의에 의해 결정되는 사안입니다.
때문에 기업이 임금을 개편할 때 노사 합의 과정에서 큰 이견차가 발생하기 마련인데요.
이런 부분에 대한 대응방안도 마련돼야할 텐데요.
김유나 앵커>
그밖의 경제이슈 살펴봅니다.
농촌으로 이주하는 청년들이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30대 이하 청년 귀농 인구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는데요.
일자리와 보금자리를 찾아 농촌으로 이주하는 청년을 위해 정부도 통합 지원방안을 마련한다고 밝혔는데요.
임보라 앵커>
지금까지 윤석천 경제평론가였습니다.
오늘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