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에너지 대란의 여파···석탄 발전 회귀? [S&News]
등록일 : 2022.07.05
미니플레이

김용민 기자>
# 석탄 회귀?
지난해 11월 영국에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가 열렸습니다.
석탄 발전을 끝내고, 지구의 온도를 더 이상 높이지 않는 노력에 많은 나라들이 동참하기로 했죠.
그런데, 올 해 초 발발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상황을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유럽의 여러 나라들이 러시아의 가스를 받지 않는 대신 석탄 발전에 다시 손을 댄 겁니다.
독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등이 재가동하기로 했고요, 프랑스도 이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미 유럽은 에너지 대란의 한가운데 있습니다.
EU의 장기적인 2050 온실가스 감축목표에는 변함이 없다지만, 에너지 부족이라는 혹독한 현실 앞에 일단은 어쩔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불똥은 아시아로도 튀었습니다.
인도는 현재도 에너지의 70%를 석탄에 의존하고 있는데요.
이를 더 수입하기로 했습니다.
석탄 발전으로 회기는 지구 온난화에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한국은 어떨까요?
전체 발전량 중 석탄 발전의 비중이 2018년 52.4%로 정점을 찍은 이후 2020년 44%로 줄었습니다.
원전이 38.9%를 차지해 그나마 다른 나라보다 조금 나은 편입니다.
하지만 산업부는 올해 전력 수요를 공급이 따라가지 못해 여건이 녹록하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전 세계가 이상 기후로 몸살을 앓고 있으면서도 석탄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답을 모두 알고 있지만 실천하지 못하는 현실, 정말 안타깝습니다.

# 디폴트
러시아가 결국 디폴트에 빠졌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이 서방의 제재로 100여년 만에 외화표시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지 못했다고 27일 보도했는데요.
디폴트는 채무불이행입니다.
채무 유예 요청인 모라토리엄과 다른데요.
모라토리엄은 "내가 갚을테니까 좀 시간을 더 줘" 라는 거고요.
디폴트는 "나 못 갚아." 또는 "나 안 갚아!"입니다.
러시아는 이자를 갚을 수 있는 달러를 많이 보유하고 있죠.
어디에?
서방 측 계좌에 말이죠.
그런데 이번 우크라이나 침공 때문에 서방측에 보관된 외화자금이 다 동결됐습니다.
자기 돈을 자기가 쓸 수 없게 된 거죠.
최근 디폴트를 선언한 나라가 또 있습니다.
바로 스리랑카입니다.
여기는 러시아랑 상황이 많이 다릅니다.
정말 돈이 없어요.
있는 돈을 못 쓰는 러시아랑은 다르죠.
그래서 스리랑카는 IMF만 바라보고 있는데요.
지난 4월12일 일시적 디폴트를 선언했습니다.
정부의 외환 보유고는 바닥이고요, 스리랑카의 경제는 고꾸라졌습니다.
6월 25일에는 심지어 개인이 가질 수 있는 외화를 1인 당 만 달러로 제한했고, 이를 넘게 가지고 있으면 처벌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외화 부족으로 연료도 부족하고, 의약품이나 식품 등의 수입도 사실상 중단된 상태라고 하죠.
성격이 다른 두 나라의 디폴트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아직까지는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하지만 촘촘하게 연결돼있는 세계 경제, 마치 나비 효과로 어떻게 튈 지 모르기 때문에, 우리도 철저한 대비를 해야겠습니다.

# 튀르키예
국내 포털에 영어 turkey를 치면 칠면조가 나옵니다.
저는 중동의 국가 turkey를 찾고 싶었는데 말이죠.
많은 영어권 국가에서도 이런 일이 발생하는데요.
뭐 eagle, falcon 정도면 괜찮을텐데...
turkey라는 게 나라 이름으로는 좀 애매하죠?
그렇다면 영어로 칠면조가 왜 터키일까요?
두 가지 설이 있는데요.
둘 다 과거 영국인들이 터키 상인들로부터 처음 알게 된 새였기 때문에 터키로 불려졌다고 합니다.
정작 터키에서는 칠면조를 hindi라고 부르는데요.
인도에서 왔다는 뜻입니다.
이것도 재미있는데 프랑스, 러시아, 폴란드, 우크라이나에서도 칠면조를 '인도에서 온 새'라고 부른다고 하네요.
어쨌든 터키가 이렇게 칠면조라는 뜻으로 영어로 불리는 게 싫었나 봅니다.
그래서 자신들을 튀르키예로 불러달라고 국제사회에 정식 요청했습니다.
이달 초 유엔이 이를 승인했고, 한국 외교부도 터키 국호를 튀르키예로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외교부 공식 홈페이지에도 24일부터 표기가 변경됐습니다.
그래서 저도 이제 튀르키예라고 부르도록 하겠습니다.
올해는 한국과 튀르키예가 수교를 맺은 지 65주년입니다.
전략적 동반자관계를 수립한 지 10년이라고 하는데요.
특별히 사이가 좋은 것으로 알려진 한국과 튀르키예, 앞으로 더 친하게 지내면 좋겠네요.

지금까지 S&News였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