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3연속 자이언트 스텝? 한은의 판단은? [S&News]
등록일 : 2022.08.16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 3연속 0.75%p?
두 번 크게 올렸습니다.
세 번 연속 갈까요?
미 연준의 금리 말입니다.
만약 9월 열리는 연준의 통화정책회의에서 세 차례 연속 자이언트 스텝이 결정된다면 미국 기준금리는 3.25%가 됩니다.
속도가 엄청난데요.
과거를 한 번 볼까요?
90년 이후 세 차례 금리 인상기가 있었는데요.
1999년 닷컴버블 당시 미 연준은 1년간 1.75%p를 올렸고요, 다음으로 4.25%p를 올린 적이 있었는데, 2004년부터 2년 1개월 동안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은 2016년부터 3년간 2.25%p.
이번에는 올해 3월부터 4개월 만에 2.25%p 뛰었고, 9월에 올린다면 6개월 만에 3.25%p로 상승인데요.
역대급 가파른 상승입니다.
이게 가능성이 높은 이유를 보면요.
일단 미국의 물가는 여전히 높은 반면, 고용이 생각보다 좋습니다.
그리고 금리를 정하는 연준 위원들, 각 연방은행 총재들의 발언들이 계속 나오는데요.
자이언트 스텝 가능하다는 내용입니다.
그렇다면 한국은 어떨까요?
일단 현재는 2.25%입니다.
올해 세 차례 금통위 회의가 예정돼 있는데요.
8월, 10월, 11월입니다.
7월 금통위 의사록을 보면요.
대부분의 위원들이 추가 인상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그래서 시장의 관심은 결국 올리는 건 알겠는데, 얼마나 올릴거냐에 집중돼 있습니다.
베이비스텝이냐?
빅스텝이냐?
요즘 같은 금리 인상 시기 다른 것 없습니다.
이자 부담 줄이는 데 올인하는 것, 이게 현명한 판단 아닐까요?

# 반도체
요즘 산업계에서 주야장천 나오는 이슈, 바로 공급망이죠.
반도체 한 번 살펴볼게요.
미국이 한국이랑 대만이랑 일본이랑 손잡고 칩4 동맹하자~ 이렇게 얘기하고 있습니다.
칩4... 감자칩? 포카?
전 뭐 이런 느낌인데요.
칩4가 뭐냐면요,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올해 3월 한국과 일본, 대만에 제안한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입니다.
이 네 나라, 반도체 산업에서는 핵심국가, 절대 강자입니다.
미국은 시스템반도체, 팹리스 분야의 최강자, 한국과 대만은 파운드리, 여기에 또 한국은 메모리반도체 최강자.
그럼 일본은 뭐냐?
일본은 반도체 장비 분야, 소재 분야에서 원탑입니다.
이렇게 네 나라가 뭉치면 어벤저스 아닌가 싶은데요.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반도체를 이렇게 무 자르듯이 딱 자르기 어려운 이유가 원료, 소재부터 완제품까지 분업화가 이미 이뤄져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메모리반도체 후공정의 경우 중국 의존도가 높습니다.
또 한국 반도체의 제1수출국 역시 중국이죠.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보고서를 보면 2020년 한국의 반도체 부품과 장비 수출액의 43.2%가 중국입니다.
여기에 노광장비 수입을 보면 일본 의존도가 높은데요.
2020년 반도체 소재 수입 총액의 38.5%를 일본에서 들여왔고, 70% 이상의 대일 수입 장비, 부품 품목이 20개를 넘습니다.
이처럼 공급망 리스크는 중국이다, 일본이다, 이렇게 딱 잘라 말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이 최근 칩4 참여에 대해 "순수하게 경제적인 국익의 차원에서 결정할 문제"라고 밝혔습니다.
꼬여 있는 실타래, 무리 없이 잘 푸는 현명한 방안들이 나오기를 기대해 봅니다.

#문을 열다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특별 전시가 열리고 있습니다.
Fly me to the MOON 문(moon)을 열다 전인데요.
제가 가족과 함께 다녀왔습니다.
지난 5일 우주로 쏘아 올려진 한국의 첫 달 궤도선 다누리를 기념해 열리는 전시인데요.
아이가 정말 좋아했습니다.
거기서 눈에 띄는 이벤트가 있었는데요.
2031년 한국 최초의 달 착륙선이 착륙할 달의 좌표를 맞추는 행사였는데요.
많은 아이들이 줄을 서서 자신의 좌표에 착륙선이 꼭 내릴 거라면서 재잘재잘 거리더라고요.
제 딸도 물론 했습니다.
어딘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 주변에라도 내리면 좋겠습니다.
자~ 한국 우주연구의 다음 스텝은 바로 달 착륙선입니다.
1992년 한국의 첫 인공위성 우리별 1호가 우주로 간 지 30년 만에 자체 개발 발사체를 쏘아올리기까지 얼마나 많은 과학자들의 땀과 눈물이 있었을까를 생각하면 감사한 마음이 절로 듭니다.
최근 달 탐사 경쟁이 다시 불붙었습니다.
러시아가 달 탐사를 올해 재개하기로 했고, 중국도 2024년 탐사를 진행합니다.
미 항공우주국 나사가 아스테미스 프로그램을 통해 올해 안에 달 무인 비행을 진행하고, 2025년 유인 비행사를 달에 착륙시키겠다고 밝혔죠.
한국도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시에 2031년 달 착륙선을 실은 한국 발사체를 쏘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다누리의 다음 사업이죠.
국립중앙과학관 특별 전시 한 쪽 벽면에 한국 우주개발의 역사가 쭉 펼쳐져 있습니다.
30년 전, 될 까? 했던 일들이 지금 우리의 눈앞에 펼쳐진 것처럼, 달 착륙, 그리고 먼 우주로 여행, 가능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연구진 여러분들 화이팅입니다!!

지금까지 S&News였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