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비 되레 증가
등록일 : 2007.07.06
미니플레이
우리나라 가정은 자녀수가 줄 때마다 교육비는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막대한 교육비는 저축률과 금융자산 축적에도 영향을 미친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정표 기자>
저출산 현상으로 자녀수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사교육비 증가 등으로 가계의 교육비 지출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출산율 저하가 인적투자 및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보고서에 따르면, 자녀수가 한 명 늘 때 교육비 지출이 19% 증가하는 반면, 자녀수가 1명 감소할 때 교육비 지출은 최고 78%까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즉 우리나라 가계는 자녀수가 줄 때 오히려 교육에 더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고서는 또 가계의 교육비 지출의 확대는 최근 우리나라 가계의 저축률 저하와 금융자산 축적의 부진과도 깊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줬습니다.
그러나 저출산으로 인한 교육투자가 늘고있지만, 사회적으로 인적자본의 축적․활용성이 낮기 때문에 20~30년 뒤 자본 수익률은 대체로 3% 내외의 낮은 수준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보고서는 또 고령세대가 증가하면서 안전 자산인 채권의 보유 비중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현재는 주식 비중이 10%대, 채권 비중이 3%대지만 2030년쯤엔 안전 자산에 대한 선호가 커지면서 채권의 비중이 주식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또 막대한 교육비는 저축률과 금융자산 축적에도 영향을 미친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정표 기자>
저출산 현상으로 자녀수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사교육비 증가 등으로 가계의 교육비 지출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출산율 저하가 인적투자 및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보고서에 따르면, 자녀수가 한 명 늘 때 교육비 지출이 19% 증가하는 반면, 자녀수가 1명 감소할 때 교육비 지출은 최고 78%까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즉 우리나라 가계는 자녀수가 줄 때 오히려 교육에 더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고서는 또 가계의 교육비 지출의 확대는 최근 우리나라 가계의 저축률 저하와 금융자산 축적의 부진과도 깊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줬습니다.
그러나 저출산으로 인한 교육투자가 늘고있지만, 사회적으로 인적자본의 축적․활용성이 낮기 때문에 20~30년 뒤 자본 수익률은 대체로 3% 내외의 낮은 수준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보고서는 또 고령세대가 증가하면서 안전 자산인 채권의 보유 비중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현재는 주식 비중이 10%대, 채권 비중이 3%대지만 2030년쯤엔 안전 자산에 대한 선호가 커지면서 채권의 비중이 주식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국정와이드 (379회) 클립영상
- 항만 `경쟁력 향상` 47:52
- 경기회복 `가속도` 47:52
- 현금축소 `채권확대` 47:52
- 내신합의 관련 교육부총리 브리핑 47:52
- 진정한 대학 자율성은 `연구의 자율성` 47:52
- 절대로 패배 안해 47:52
- `여수 유치`로 평창 아쉬움 달래야 47:52
- 일정 당겨질 듯 47:52
- 서민 유가부담 `던다` 47:52
- 선진 투자은행 육성 47:52
- 교육비 되레 증가 47:52
- 이자부담 상당부분 해소 47:52
- 남용 방지 `이미 제도화` 47:52
- 한미FTA 비준, 먼저 끝내는 것이 유리 47:52
- 박 농림 `미 쇠고기 수입, FTA와 별개` 47:52
- 서로에게 이익 47:52
- 김성호 법무, `반FTA 불법집단행동 엄중 처벌` 47:52
- 시대 흐름 반영 47:52
- 日, 방위백서에 `독도` 자국영토 표기 47:52
- 전자정부 구축사업 해외진출 본격화 47:52
- 위장결혼 등 적발되면 귀화 취소 47:52
- 밤새 일제단속, 음주운전 2천10명 적발 47:52
- 교육인적자원부 브리핑 47:52
- 행정자치부 브리핑 47:52







